“김종인표 인적쇄신 신호탄” 엄중 주문에 親文 직계 노영민 등에 출마 차단 철퇴

입력 2016-01-26 00:10

더불어민주당 노영민 의원과 신기남 의원에게 25일 총선 공천 배제형에 해당하는 '철퇴'가 내려졌다.

'김종인 선대위' 출범 후 처음 이뤄진 징계 결정이다. 지난 9월말 "계파 논리로 매도하는 걸 견디기 어렵다"며 사퇴의사를 밝혔다가 노 의원 파동 와중인 지난해 12월 돌아온 안병욱 윤리심판원장의 복귀 후 첫 결정이기도 하다.

'시집 강매' 논란을 빚은 3선의 노영민(청주 흥덕을) 의원은 문재인 대표의 최측근이라고, '로스쿨 아들 구제 의혹'에 휘말린 4선의 신기남(서울 강서갑) 의원 역시 범친노 중진으로 분류됐다는 점에서 당내 충격파는 더 컸다.

노 의원은 당원자격정지 6개월, 신 의원은 당원자격정치 3개월 처분을 받았다.

그만큼 적지 않은 파장을 몰고 올 예정이다.

김 위원장에게 '비상대권'을 넘기고 이번에 물러나는 문 대표로선 제3자의 손을 빌어 '읍참마속'을 하게 된 셈이 됐다.

이번 윤리심판원의 결정은 새 지도체제 하의 인적쇄신 의지를 가늠케 하는 첫 시험대로 여겨져 왔다. 윤리심판원이 독립기구인만큼 결정의 독립성이 보장되는 구조이긴 하지만, 야권내 어지로운 혼돈 국면에서 살아남기 위한 더민주의 몸부림이 투영될 수밖에 없었다는 점에서다.

이와 관련, 안 원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김종인 위원장을 알지도 못하고 이번 징계 건과 관련해 얘기를 나눠본 적도 없다"며 "어떤 외부 요인에도 영향 받지 않고 국민의 눈높이 대로 처리한다는 원칙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선대위 첫 회의에서 "정치인으로서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을 한 분들은 당이 단호한 입장을 견지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 당이 변모했다는 모습을 보여줄 수 없다"고 공개적으로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날 한 라디오방송에서도 "솔직히 말씀드려서 의원의 행태가 통상적인 상식을 저버리는 경우 이런 문제에 대해선 비교적 당에서 엄하게 대처할 수밖에 없다"며 고강도 처분을 예고했다.

김 위원장은 최근 선대위 구성을 놓고 신당 세력 등으로부터 '친노 패권주의를 청산하지 못했다'는 비판에 처했지만, 취임 일성으로 "친노 패권주의를 수습할 능력이 없었다면 오지도 않았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친문·친노 인사들에 대해 고강도 메스를 들이댄 것을 두고 향후 현역 물갈이의 신호탄이 아니냐며 긴장하는 분위기도 당내에 적지 않게 감지된다.

이번 중징계에는 무소속 안철수 의원과의 혁신·쇄신 경쟁에서 밀리지 않겠다는 포석도 깔려 있어 보인다.

'갑질 논란'에 휘말린 인사들에 대해 솜방망이 처벌 잣대를 들이댈 경우 온정주의 논란이 재연, 새체제 하의 혁신 의지가 빛바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다. 실제 안 의원은 '이분법적 사고', '순혈주의', '온정주의', '이중잣대' 등을 더민주의 고질적 병으로 꼽아왔었다.

문 대표와 가까운 인사들에 대한 비타협적 징계 결정을 통해 안 의원과의 혁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것이다.

이날은 공교롭게도 안 의원의 국민의당이 더민주로부터도 러브콜을 받았던 천정배 의원의 국민회의와 통합을 결의한 날이기도 하다.

두 의원의 징계 결정이 내려지자 당내에서는 노 의원과 신 의원의 지역구에 청주 출신의 도종환 대변인과 안 의원의 '옛 측근'으로, 서울 출신의 금태섭 변호사의 이름이 당사자들의 의사와 무관하게 흘러나오기도 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