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청와대와 외교부 등 정부 기관 상대 사이버 도발 잇따라

입력 2016-01-25 10:31

지난 6일 북한 4차 핵실험 이후 북한 소행으로 추정되는 사이버 도발이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5일 "정부는 북한 핵실험 이후 북한의 사이버 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사이버 경보를 정상에서 관심으로 한 단계 격상했다"며 "하지만 최근 해킹 메일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어 국민 여러분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미래부에 따르면 청와대와 외교부·통일부 같은 주요 정부 기관, 포털업체 관리자 등을 사칭한 회신 유도형 위장 메일과 자료 절취형 해킹 메일이 수십 차례에 걸쳐 유포된 바 있다.

또 기반시설 관련 분야 종사자들과 협력업체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해킹 공격도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미래부는 "정부는 최근 해킹 메일이 집중유포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 4차 핵실험과 관련한 우리의 대응전략을 염탐하고 후속도발을 준비하려는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북한의 사이버 도발에 대비해 국가·공공기관 근무자들의 상용메일 사용을 차단하고, 국가 주요 기반시설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는 등 범정부 차원의 총력대응 태세를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주요 정보통신 서비스 제공업체와 시스템통합(SI) 업체 및 백신 업체 등 민간 부문도 북한의 사이버 도발에 대비해 적극적으로 보안관리에 최선을 다하도록 거듭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