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2016년 1월 셋째 주(19~21일 3일간) 전국 성인 1,003명에게 박근혜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잘못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질문한 결과, 39%는 긍정 평가했고 49%는 부정 평가했으며 12%는 의견을 유보했다(어느 쪽도 아님 6%, 모름/응답거절 6%).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지난 주에 비해 4%포인트 하락, 부정률은 2%포인트 상승했다. 긍정률은 지지난 주와 비슷한 수준으로 되돌아갔고 지난 주 4%포인트까지 줄었던 긍·부정률 격차는 이번 주 10%포인트로 다시 벌어졌다. 각 세대별 긍정/부정률은 20대 13%/71%, 30대 16%/74%, 40대 30%/58%, 50대 53%/35%, 60대+ 74%/16%다.
주요 지지정당별로 보면 새누리당 지지층(385명)은 76%가 '잘하고 있다'고 답했고
더불어민주당 지지층(191명)과 국민의당 지지층(126명)에서는 각각 88%, 73%가 '잘못하고 있다'고 평가했으며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259명)에서도 부정적 견해가 더 많았다(긍정 22%, 부정 52%).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자(390명)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자유응답) '외교/국제 관계'(16%), '열심히 한다/노력한다'(13%), '주관, 소신/여론에 끌려가지 않음'(9%), '대북/안보 정책'(9%), '복지 정책'(6%) 등으로 나타났다.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494명)는 부정 평가 이유로(자유응답) '소통 미흡'(15%), '경제 정책'(13%)(+3%포인트), '공약 실천 미흡/입장 바뀜'(12%), '복지/서민 정책 미흡'(7%), '국정 운영이 원활하지 않다'(7%) 등을 지적했고 그 외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4%)(-3%포인트), '보육/누리과정 예산 문제'(2%)가 3주 연속 언급됐다.
이번 주 대통령 직무 긍·부정 평가 이유에 큰 변화는 없었지만, 긍정 평가 이유에서는 '안정적인 국정 운영'(8%→4%) 응답이 감소하고 부정 평가 이유에서는 '경제 정책'(10%→13%) 지적이 증가한 점이 눈에 띈다.
연말연초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 4차 북핵실험 등으로 지난 주까지 박 대통령의 외교·대북 행보가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면, 이번 주 들어서는 경제 행보에 관심의 초점이 모아진 결과로 보인다. 대통령은 지난 14일부터 2016년 각 부처 정부 업무 보고를 받고 있으며 18일에는 재계가 주도하는 경제 입법 촉구 서명운동에 참여했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 응답률은 21%(총 통화 4,760명 중 1,003명 응답 완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朴대통령 부정평가 1순위는 여전히 ‘소통 미흡’” 경제 정책 실패 2위
입력 2016-01-22 1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