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北사이버 테러 못 막으면 국가기능 마비...국민 공포 확산”

입력 2016-01-21 16:18

박근혜 대통령은 21일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관련, "정부는 북한이 마땅한 대가를 치르도록 유엔 차원의 대북 제재를 비롯해 가능한 모든 실효적 (제재) 수단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제49차 중앙통합방위회의를 주재하고 "새해가 시작되자마자 북한은 4차 핵실험을 감행해서 민족의 기대를 한순간 무너트리고 또다시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평화를 위협하고 있다"면서 이런 정부 입장을 재확인했다.

박 대통령은 "이런 상황에서 더욱 염려되는 것은 북한의 대남 도발과 군사적 위협이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어서 한반도의 안보 불확실성도 더욱 증대될 위험이 크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오늘은 1968년 1·21사태(일명 김신조 사건)가 발생한지 꼭 48년째 되는 날"이라면서 "돌이켜보면 휴전 이후 한반도는 항상 긴장 상태에 있었고 진전이 좀 있을까 싶으면 다시 냉각되길 반복해 왔다"고 평가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북한은 지속적으로 핵능력을 고도화시키는 동시에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사출 시험을 계속하는 등 비대칭 전력의 증강에 힘을 쏟고 있다"면서 "사이버 공격이나 소형 무인기 침투 같은 다양한 형태의 도발 위협도 계속하고 있다"면서 철저한 대비태세 구축을 당부했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은 비공개로 진행된 회의에서 "북한은 1990년대부터 사이버전에 대응해 사이버 전문인력을 양성해왔으며 현재 수천 명의 사이버 전문 부대원을 운용하는 등 상당 수준의 사이버전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따라서 사이버 공격 발생시 즉각적으로 차단하지 못한다면 단시간 내 국가 기능이 마비되고, 국민적 공포가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청와대가 전했다.

박 대통령은 "정부는 지난해 '국가 사이버안보태세 강화 종합대책'을 마련해 관련 법과 제도를 개선하고, 사이버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등 국가 안보 차원의 대책을 강구 중에 있다"면서 "사이버 공격의 영향력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스템 사용자들의 인식개선과 자발적 협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테러 문제와 관련, "우리나라는 북한과 내부 적대세력에 의한 테러, ISIL 등 국제적 테러로부터 안전하지 않은 상황"이라면서 "많은 국가 중요시설과 다중 이용시설에 대한 테러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하고, 외국인이 많이 방문하는 지자체도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은 "북한은 수천 톤의 화학무기와 탄저균, 천연두 등 십여종 이상의 생물학 작용제를 보유 중"이라면서 '생화학무기에 의한 위협은 예측이 힘들고, 대규모의 국가적 재앙과 안보위협을 초래할 수 있으며 피해복구에 엄청난 예산과 노력이 소요된다"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테러·생물·사이버 위협 등에 대비한 국가방위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반 조치를 착실히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