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유치원·어린이집이 힘들다고 이번에도 누리과정을 미봉책으로 해결하려하면 국가의 미래가 무너진다.”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20일 도교육청에서 가진 신년 기자회견에서 “지방교육재정 악화로 초·중·고 학교교육이 위기상황이다. 이미 ‘교육대란’이 와서 공교육이 무너지고 있다”며 이렇게 밝혔다.
이 교육감은 “이제 정말 박근혜 대통령이 해답을 줘야한다”며 “다른 해법이 없어 청와대 앞 ‘1인 시위’도 했다”고 말했다.
누리과정(만 3∼5세 무상보육) 예산 문제로 보육대란에 직면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고충은 이해하고 책임감을 느낀다는 이 교육감은 “대통령이 누리과정에 대해 전액 국고로 지원하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이 교육감은 ‘일단 보육대란은 막고 보자’는 남경필 지사의 충분히 이해한다면서도 “누리과정문제를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육감은 “국민 절대다수가 누리과정은 중앙정부의 책임이라고 하지만 대통령, 정부, 여당은 국민의 여론을 철저히 외면한 채 국민을 호도하며 오히려 교육감들을 겁박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말 도의회에 제출한 유치원 누리과정 예산과 관련, 이 교육감은 “법률적으로 도의회(상임위와 예결위)가 삭감한 예산을 살려 집행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도교육청 자료에 따르면 보통교부금이 2012년 7조1476억원에서 2014년 8조2635억원으로 증가했지만 인건비와 누리과정비 합산액, 2012년 7조2809억원, 2014년 8조5072억원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한 2012년과 2014년을 비교하면 교육복지 지출 중 누리과정 비중은 69%에서 71%로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교수학습활동 지원비는 6730억원에서 4665억원으로 30.7%, 학교교육여건 개선 시설비는 9913억원에서 9262억원으로 6.6%가 각각 줄었다.
이런 와중에 총부채(BTL 원리금·운영비 포함)는 7조8984억원으로 급증, 올해 상환액만 4850억원에 이르게 됐다고 설명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이재정 교육감, "미봉책으로는 국가 미래 무너져…누리과정, 대통령이 해답 줘야"
입력 2016-01-20 2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