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성장으로 소득증가율이 둔화되고 정규직 취업률이 낮아지면 서울에 있는 주택의 절반 이상이 청년층이 살 수 없는 그림에 떡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국토교통부의 주거실태조사와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등을 활용해 2014년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추정해 내놓은 결과다. 2014년 25∼29세였던 청년이 35∼39세가 됐을 때 구입 가능한 주택 비율을 산출한 결과 10채 중 6대는 구입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토연구원의 ‘저성장시대 청년층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보고서를 보면 2011∼2020년 경제성장률을 3.6%로 놓았을 때 2014년 25∼29세인 청년은 10년 후 서울에 있는 주택 가운데 56.4%만 구입할 수 있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35∼39세의 소득을 월 342만9000원, 순자산을 1억453만원으로 놓고 소득과 자산, 주택담보대출 등을 고려했을 경우 부담할 수 있는 주택가격은 3억8421만원으로 추정됐다.
추정 값을 바탕으로 지역별로 35∼39세가 구입 가능한 주택 비율을 보면 경기는 83.7%, 인천은 96.1%였다. 비수도권(부담 가능 주택가격 3억5224만원)은 울산 87.5%, 대구 89.0%, 부산 92.0%, 광주 97.4% 등이었다.
청년층이 구입할 수 있는 주택의 비율은 경제성장률이 낮아지면서 급격히 줄었다. 원래 추정보다 경제성장률이 5%가량 둔화해 청년층의 소득증가율이 낮아지면 서울의 주택 가운데 35∼39세가 살 수 있는 주택은 47.8%에 머물었다.
또 경제성장률이 둔화하는 것에 더해 정규직 비율이 5% 포인트 줄어들면 35∼39세가 부담할 수 있는 주택가격은 3억3525만원으로 하락, 서울에 있는 주택 중 46.4%만 사들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경제성장률과 정규직 비율의 하락과 월세가구 비중이 5%포인트 증가해 청년층의 순자산이 추가로 감소할 경우 35∼39세가 살 수 있는 서울의 주택은 40.8%에 머물렀다.
서울에 있는 주택 10채 가운데 6채는 청년층에게 말 그대로 ‘그림의 떡’인 셈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 같은 추정은 집값이 2014년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한 만큼 오르지 않는다고 가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수욱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하방경직성이 있어 집값은 급락이 없고 일반적으로 오른다”며 “이번 연구는 집값이 오르지 않아도 서울에 있는 집 가운데 절반을 청년이 살 수 없다는 점을 보여 준다”고 설명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
청년에게 서울 주택 10채 중 6채는 ‘그림의 떡’
입력 2016-01-20 0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