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시간에 “헌금을 내지 마라”하는 교회에 대해 들어보셨는지요. 서울 도봉구 노해로 높은뜻정의교회 이야기입니다.
이 교회 오대식 목사는 지난 10일 주일예배 설교에서 ‘헌금 없는 주일’을 실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매월 셋째주 성도들은 교회에 헌금을 드리지 말고, 어려운 이웃이나 기관에 직접 헌금을 전달하는 ‘정의헌금’을 드리자는 것입니다. 단 개인과 가정의 신앙훈련이기에 교회 부서나 소모임에서 함께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성도들은 오 목사의 제안을 흔쾌히 받아드린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페이스북 등 SNS에서는 대부분 칭찬 일색입니다. 그러나 다른 시선도 있습니다. 헌금은 성도의 몸과 마음을 담은 물질을 하나님께 드리는 행위로 예배의 중요 요소인데 이를 배재하는 것은 자칫 헌금무용론을 야기할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또 교회 운영에 있어 헌금에 절대적으로 의존해야 하는 타 교회에까지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높은뜻정의교회는 3000여 명이 모이는 중대형 교회입니다. 대개 자체 건물이 있는 교회의 경우 건물 운영비가 많이 들지만 높은뜻정의교회는 도봉구 정의여고 강당에서 예배를 드리기 때문에 헌금 없는 주일 실험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논란이 일자 오 목사는 지난 15일 본인의 페이스북에 “이 운동은 교인들과 함께하는 신앙훈련의 일환으로 교인들의 신앙 상태와 주변 상황을 보면서 충분히 감당할 수 있겠다고 판단되어 시작을 결심한 것”이라며 헌금무용론을 부인했습니다. 오 목사는 “정의헌금 운동을 한다 해서 교회의 기존 헌금이 줄거나 예산 부족으로 교회가 어려움에 처할 것이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며 “재정 문제보다 더 중요한 것은 교인들 생활에서의 실질적 변화로 주변 어려운 사람들을 돌아보는 일이 생활화된다면 이 헌금운동은 성공적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헌금은 구약 시대부터 내려오는 신앙적 행위(레 27:30)입니다. 아브라함이 살렘 왕 멜기세덱에게 자기의 것 10분의 1일 바친 것이 십일조의 기원(창 14:20)입니다. 헌금은 성전보수와 제사장의 보수, 그리고 구제에 사용됐습니다. 사도 바울도 가난한 사람을 돌보고(고전 16:1~3·고후 8~9·엡 4:28)라고 강조합니다. 또 가난한 형제들을 위한 구제 헌금이 주일 예배의 중요한 부분이 됨을 암시합니다.
정의헌금이 헌금의 범위에서 벗어나 보이지는 않습니다. 높은뜻정의교회는 지난 17일에 처음으로 ‘헌금 없는 주일’을 실시했습니다. 이 교회의 실험이 그 목적을 잃지 않고 지속되길 바랍니다.
이사야 기자 Isaiah@kmib.co.kr
[미션쿡]헌금 없는 주일 실시하는 높은뜻정의교회
입력 2016-01-19 1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