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대기업의 신규 진입 자제·철수를 권고하는 중소기업 적합업종 제도에 대해 우리나라 대학생 10명 중 7명은 ‘법제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0개 대학 재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적합업종에 대한 대학생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71.0%는 대기업이 영세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사업영역을 침범해 시장을 잠식하는 현상에 대해 ‘잘못’이라고 응답했다고 19일 밝혔다.
중소기업 적합업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학생의 82.4%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중소기업 적합업종이 필요한 이유로는 ‘(소상공인·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자본과 조직이 열악한 경제적 약자이기에 공정한 경쟁이 안 되기 때문’(46.1%)이 가장 많았고, ‘소상공인은 경제의 풀뿌리이기 때문에 산업기반 보호 필요’(43.3%), ‘대기업 진출로 독과점이 발생해 가격상승’(23.1%) 등이 뒤를 이었다.
대학생들은 중소기업 적합업종을 법제화하고 품목 확대·지정 기간 연장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제도의 실효성을 위해 중소기업 적합업종 법제화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74.1%였고, 대학생의 90.9%는 적합업종 품목의 확대·유지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현재 최대 6년인 지정 기간을 8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에는 72.3%가 공감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대학생 10명 중 7명 "중소기업 적합업종 법제화 필요해"
입력 2016-01-19 1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