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재정난 서해5도 여객선 요금 지원사업 중단 "인천만의 가치 재창조 타격"

입력 2016-01-18 16:44
인천시 옹진군 백령도·연평도·대청도 등 서해 5도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여객선 요금의 절반을 지원하는 ‘서해 5도 방문의 해 지원사업’이 올해부터 중단돼 천안함 폭침, 연평도 피격사건의 충격에서 회복해 나가는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13일 옹진군에 따르면 인천시가 올해부터 이러한 여객요금 보조금 지원을 중단했다.

이 사업은 서해 5도 관광과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관광객이 1박 이상 머물 경우 여객선 요금 50%를 지원하는 것으로 시작됐다.

2013년부터 인천시가 연간 7억원을 지원하고 옹진군이 7억원을 부담해 매년 14억원의 예산으로 추진됐다. 이 사업으로 요금 혜택을 받은 인원은 2013년 2만6000명, 2014년 3만 2300명, 지난해 3만2000명에 달했다.

호응은 좋았지만 군 자체 재원으로 사업 추진이 어렵다는 게 옹진군의 설명이다. 서해 5도는 높은 여객선 요금으로 관광객 접근이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요금지원 사업에 대해 관광객뿐만 아니라 옹진군 주민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25개의 유인도서로 이뤄진 옹진군은 해양관광의 보고지만 천안함 폭침(2010년 3월), 연평도 피격(2010년 11월), 세월호 사건(2014년 4월) 등의 여파로 섬 관광이 위축됐다.

옹진군 관계자는 “섬 관광 활성화를 위한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인천시에 보조금 지원을 지속적으로 건의하겠다”면서 “섬 접근성을 보다 수월하게 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민단체들도 “인천시가 서해5도 여객선 요금 절반 지원을 중단하는 것은 인천만의 가치 재창조 사업에 역행하는 처사”라고 비난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