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에 반려동물 장묘시설 조성이 추진된다.
창원시설공단은 18일 1000만 반려동물 시대에 맞춰 공공기관으로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공공 동물 장묘시설’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가 파악한 반려동물 사육가구는 모두 7만4000가구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시 전체 41만5000여 가구 중 18%다. 시는 반려동물을 10년 생존율로 적용하면 해마다 시에서 7400마리가 죽는 것으로 파악했다.
화장 비용도 적게는 30만원에서 많게는 400만원까지 만만치 않다.
현재 반려동물을 키우다 동물병원에서 죽으면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소각 처리하고 있지만, 일반 가정에서 발생하는 동물 사체는 일반폐기물 처리법에 따라 생활쓰레기 봉투에 담아 폐기하고 있다.
죽은 동물을 쓰레기봉투에 담아 버리면서 악취 민원도 끊이지 않는데다, 가족처럼 키운 동물을 폐기물로 처리하는 것도 정서상 맞지 않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죽은 반려동물을 불법으로 묻거나 내다버릴 경우 병원균 등 각종 질병을 옮길 우려도 나온다.
이 때문에 공공에서 운영하는 일반 화장시설에서 반려동물을 화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요구도 이어지고 있다.
권영균 공단 기획전략부장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급증하면서 사체 처리방식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함에 따라 반려동물 장묘시설 조성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창원시설공단은 가동이 중단된 진해화장장에 화장로 2기를 설치하고 장례식장, 납골당 등을 부대시설로 바꿔 동물 장묘시설로 전환하는 방안을 우선 검토하고 있다. 진동 창원공원묘원 내 마산화장장이나 진해 천자원 부근도 검토 대상지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창원시, 반려동물 공공 장묘시설 전국 첫 추진
입력 2016-01-18 1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