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녀인구가 해마다 급감하고 있어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주시는 2015년 해녀 실태조사 결과 지난해 말 기준 해녀 인구는 모두 2404명으로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전년(2485명) 같은 기간과 비교해 3.2%(81명)나 줄어든 수치다.
20년 전인 1995년 3452명과 비교하면 1048명, 매년 52.4명씩 감소한 셈이다.
해녀 인구는 2000년 2941명, 2005년 2881명, 2010년 2755명, 2015년 2404명으로 줄어들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조업 중 사망하거나 고령으로 인한 자연사 외에 신규 해녀 가입자가 극소수에 그치면서 고령화 촉진과 해녀 수 감소라는 악순환이 되풀이되는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시에 등록된 해녀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30∼39세 9명(0.4%), 40∼49세 47명(2.0%), 50∼59세 313명(13.0%), 60∼69세 747명(31.1%), 70∼79세가 965명(40.1%), 80세 이상 323명(13.4%) 등 70세 이상 고령 해녀가 53.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시 지역의 현역 최고령 해녀는 우도면 오봉어촌계 소속 이봉숙(93) 할머니로 경력이 76년이다. 최연소는 추자면 예초어촌계 소속 정모(31)씨다. 남성 해녀는 3명으로 애월읍, 추자면, 용담2동에서 현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고령화가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지난해 신규 해녀 가입자는 30대 1명, 50대 7명에 그쳤다.
신규 해녀 가입자가 적은 이유는 해녀를 직업으로 꺼리는 사회적 분위기와 수입이 줄어들 것을 우려하는 어촌계가 신규 해녀 가입을 선뜻 동의하지 않는 게 가장 큰 원인이다.
‘제주 해녀어업’은 지난해 12월 ‘대한민국 제1호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됐다.
제주발전연구원 관계자는 “제주해녀어업'을 제대로 전승·보전하기 위해 해녀 숫자를 충분히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해녀를 새로 받아들이는 어촌계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하는 등 해녀를 늘리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올해 해녀의 복리증진 및 안전망 구축을 위해 13개 사업에 36억7000만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
제주 해녀 수 해마다 급감, 근본적인 대책 시급
입력 2016-01-18 1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