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 문화융성 성장동력 박차 문체부 새해 업부보고 "기업에 예술인 파견, 재외공관에 온돌체험방"

입력 2016-01-18 12:27
문화체육관광부는 올해 지역 인프라 등과 연계해 문화창조융합벨트를 본격적으로 가동키로 했다. 문화창조벤처단지에 입주한 기업이 빨리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게임과 웹툰 등 유망 콘텐츠를 집중 육성하고 우리 콘텐츠를 전 세계에 유통시킬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한다. 외래관광객 2000만 시대를 열기 위한 리조트 조성, 관광상품 개발도 추진한다.

문체부는 18일 이런 내용을 담은 업무계획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문체부는 업무보고에서 “올해는 추가 성장 여력과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큰 콘텐츠·관광산업을 중점 육성하고 산업 전반에 문화의 옷을 입혀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등 문화융성을 우리 경제 전반에 확산시켜 지속 가능한 성장동력을 만들어가는데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문체부는 올해 영상미디어센터 등 지역의 120개 문화콘텐츠 및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와 연계하는 한편 다른 부처, 민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문화창조융합벨트를 고도화한다는 방침이다. 또 투자·금융·회계·유통·기술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셀 비즈 센터’를 중심으로 사업화를 지원하고 분기별 성과추적 시스템을 가동, 문화창조벤처단지에 입주한 93개 기업의 고속 성장을 지원한다.

문화창조벤처단지 입주기업과 비 입주기업 간 협업을 통한 융복합 콘텐츠 창작을 지원(100억원)하고 카이스트 융합교육센터의 전문기술 멘토링 및 연구개발 지원(30억원)을 통해 25개 킬러콘텐츠를 제작해 사업화한다는 목표다. 게임콘텐츠 제작 및 테스트 공간 지원(190억원), 융합형 웹툰 및 웹툰의 원소스멀티유즈 콘텐츠 제작(10억원), 고화질 특수효과 작업용 첨단인프라 구축(40억원) 등을 통해 첨단 콘텐츠의 육성도 추진한다.

한국상품 역직구몰인 ‘K-몰24’에 문화우수상품과 한류 콘텐츠 연계 상품을 입점시키고 재외문화원 10곳에 ‘K컬처’ 체험관을 설치하는 등 전략적 거점을 열어 우리 콘텐츠가 전 세계에 유통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는데도 힘쓸 예정이다.

또 외래관광객 2000만 시대를 목표로 한국형 테마 복합리조트 및 지역대표관광 상품 발굴과 함께 중국과 일본, 무슬림 국가 등을 겨냥한 맞춤형 마케팅을 전개하고 비자 제도 일부 완화 등을 통해 외래 관광객의 불편을 줄이는 노력도 전개한다. 이밖에 기업에 대한 문화예술 지원 및 기업의 문화예술 후원 확대도 추진한다.

기업 300곳에 예술인 1000명을 파견해 기업 문화를 바꾼다는 계획이다. 이 사업은 예술인복지재단이 2013년부터 시범 시행한 사업을 확대한 것으로, 기업에 예술인을 파견함으로써 기업문화 혁신을 이끄는 한편 제품 기획 및 마케팅 등에 문화의 창조성을 더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지난해 515명이 파견됐으나 올해는 파견 인원이 1000명으로 늘어난다.

‘제2의 조성진’을 만들어내기 위한 기업의 문화예술후원 매칭펀드 규모는 지난해 10억원에서 올해 20억원으로 확대된다. 또 산업에 문화를 더해 고부가가치를 만들어낸다는 차원에서 전자제품과 화장품 등에 전통 공예 기법을 더한 융복합 시제품 7종 개발이 시도된다. 시제품으로는 나전칠기를 가미한 도자기 블루투스 스피커 등이 있으며 이를 위해 콘텐츠코리아랩에 문화디자인랩을 신설한다.

입기 편한 새로운

이 밖에 문체부는 한다. ‘콘텐츠 조세제도 개선 특별전담반(TF)’을 발족해 문화콘텐츠 기업의 벤처 진입 촉진을 통한 세제 혜택 확대, 콘텐츠분야 연구개발의 세액 공제 인정범위 확대 등을 추진한다.

화장품·의류·정보통신기술(ICT) 등 기업과 연계한 10대 명품산업 관광상품 개발과 ‘엠넷 뮤직 어워드’ 등 민간 차원의 한류행사에 콘텐츠, 중소기업 제품 등을 모은 한국공동관 운영도 계획에 포함됐다.

이광형 문화전문기자 g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