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 타개 위한 새 시대정신 제시” 김무성, 내일 신년 기자회견

입력 2016-01-17 18:46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18일 국회에 신년 기자회견을 열어 '일자리 창출'을 오는 4·13 총선의 승리를 위한 경제 비전으로 제시할 방침이다.

지난 2012년 대통령 선거의 가장 큰 화두 중 하나였던 '경제민주화'를 뛰어넘어 장기 침체의 징조를 보이는 우리나라의 현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새로운 시대정신을 제시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4대 개혁(노동·공공·교육·금융)의 부단한 추진을 통한 국가와 박근혜 정부, 새누리당의 성공을 강조할 예정이다.

정치 분야에서는 '국민공천제'를 정착시켜 그동안 유력 정치인이나 특정 계파에 휘둘려 침해됐던 정당 민주주의를 새롭게 확립시키겠다는 게 김 대표의 가장 큰 목표다.

김 대표 측 관계자는 17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나라의 곳간이 비어가는데 철 지난 경제민주화로는 성장을 이룰 수가 없다"면서 "일자리 창출이 곧 경제성장이고 최고의 복지 정책"이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김 대표는 대선 당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경제민주화 교사'로 알려진 김종인 전 의원을 영입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표와 선명하게 차별점을 부각시키겠다는 복안도 세웠다.

특히 부모의 경제력에 따른 학업과 취업 등에서 차별을 냉소적으로 일컫는 '흙수저·금수저론'도 일자리 창출을 핵심으로 한 경제 정책을 펼쳐야 타파할 수 있다는 게 김 대표의 생각이다.

이를 위해 김 대표는 현시대에 걸맞지 않은 경직된 노동시장의 선진화를 위해 선거에서 불리하더라도 노동계의 반대를 무릅쓰고 노동법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강력하게 촉구할 방침이다.

또 총선을 앞두고 고개를 드는 각종 무상복지의 유혹을 막아냄으로써 국가 재정을 튼튼히 하고 점차 식어가는 대한민국호의 성장 엔진을 재가동시키자고 제안할 예정이다.

정치 분야에서는 국민공천제를 통한 정당 민주주의 완성을 지상 과제로 삼았다.

일자리 창출이 경제 개혁의 핵심이라면 유권자가 원하는 인물을 공천함으로써 유능한 인재를 불러 모으는 게 김 대표 식 정치 개혁의 요체다.

그렇게 함으로써 기존에 선거철이면 벌어졌던 '인재영입 쇼'를 지양하고 지역에 필요한 맞춤형 일꾼을 뽑아 총선 승리의 견인차 역할을 맡기겠다는 것이다.

지난 2013년 7·14 전당대회에서 대표로 선출되기 전부터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주는 게 정당민주주의로서 당권에서 '권력 권(權)'자를 빼겠다"는 소신을 줄곧 밝혀왔다.

이어 일반 다수결 원칙을 무시한 현재 국회법(일명 선진화법)을 제19대 국회를 식물국회로 전락시킨 주범으로 지목하고 이를 폐기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촉구할 방침이다.

김 대표는 "국회법을 개정해 생산적인 국회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국가의 시스템이 국회라는 블랙홀에 빠져 정상 가동되지 않는 만큼 제20대 국회에는 짐을 넘기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할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국회의장의 직권상정 요건을 완화한 국회법 개정안을 제출한 새누리당은 야당이 합의해주지 않을 경우 본회의에 곧바로 부의해 처리하는 절차도 고려하고 있으며, 이 경우 정의화 국회의장에게 본회의로 안건 상정을 요구할 계획이다.

앞서 김 대표의 가장 최근 연설은 지난해 9월 정기국회를 개회하면서 한 교섭단체 대표연설이었다. 당시에도 박근혜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4대 개혁과 국민공천제의 당위성을 강조하는 데 연설의 대부분을 할애했다.

또 같은 해 취임 1주년 회견(7월), 교섭단체 대표 연설(2월), 신년회견(1월) 등에서도 대중인기영합주의 배격, 국가재정 건전성 강화, 공천 혁명 등을 항상 기본 골격으로 강조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