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전 대통령을 '국부'(國父)로 평가해야 한다는 '국민의당'(가칭) 한상진 공동 창당준비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선거대책위원장이 17일 정면 반박하면서 논란이 이어졌다.
한 위원장은 이날 마포 창준위 사무실에서 열린 기획조정회의에서 "(이 전 대통령은) 국부라는 호칭을 사용할 때 국민이 갖는 도덕적 기준을 만족시키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면서도 "국부의 명칭에 따른 도덕적, 역사적 기준을 떠나 대한민국을 세운 공적에 유의해 국부에 준하는 명칭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고 말했다.
또 "이념대립을 넘어 국민통합을 이루는 하나의 길이 여기에 있을 것으로 봤다"며 "만일 우리 국민이 이 호칭을 수용할 수 없다고 한다면,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으로서 예우하고 공과 과를 균형있게 살펴보면서 사회통합을 이루는 길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본의 아니게 4·19 유가족 등 관계자 여러분의 마음을 불편하게 하고 폐를 끼쳐드린 데 대해서 진정으로, 제발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저의 진의를 너그럽게 이해해 주시기를 간청한다"고 밝혔다.
4·19 혁명에 대해선 "이 대통령이 도입한 자유민주주의 체제 하에서, 특히 학교 교육을 통해 민주주의 가치가 젊은 세대에게 전파되고 확산됐다"며 "이 대통령이 뿌린 민주주의 씨앗이 성장해서 자유당 정권과 이 대통령을 무너렸다"고 말했다.
반면 김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연합뉴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 전 대통령이 한편으로 보면 국부라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는데, 그것을 본인 스스로 망가뜨렸기 때문에 맹목적으로 국부라는 호칭을 붙일 수 없다"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이 전 대통령이 나라를 세우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공로를 세웠으니까 일부 사람들이 국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면서도 "진짜 국부가 되려면 결과가 좋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전 대통령이 3선 개헌을 안했다면 국부임에 틀림없다"며 "그런데 3선 개헌으로 민주주의 원칙을 파괴한 사람 아닌가. 그것으로 모자라 3·15 부정선거 하다가 4·19 혁명으로 망명해 여생을 외국에서 마친 불행한 대통령"이라고 평가했다.
김 위원장은 또 "나라를 세운 사실과 3선 개헌 이후 상황 둘을 놓고 평가해야 한다"며 "최근 사회적 분위기가 보수화하다보니까 그런 이야기(국부 발언)도 나오지 않나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이승만, 3선 개헌으로 민주주의 원칙 파괴” 김종인 “불행한 대통령”
입력 2016-01-17 1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