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1월 둘째 주(12~14일 3일간) 전국 성인 1005명에게 박근혜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잘못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질문한 결과, 43%는 긍정 평가했고 47%는 부정 평가했으며 10%는 의견을 유보했다(어느 쪽도 아님 4%, 모름/응답거절 6%).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지난 주에 비해 3%포인트 상승, 부정률은 6%포인트 하락했다. 긍·부정률이 모두 40% 중반에 가까워지며 격차폭이 지난 주 13%포인트에서 이번 주 4%포인트로 줄었다. 각 세대별 긍정/부정률은 20대 20%/69%, 30대 19%/69%, 40대 33%/55%, 50대 59%/34%, 60세+ 75%/14%다.
주요 지지정당별로 보면 새누리당 지지층(398명)은 81%가 '잘하고 있다'고 답했고
더불어민주당 지지층(200명)은 82%가 부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319명)에서도 부정적 견해가 더 많았다(긍정 23%, 부정 60%).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자(428명)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자유응답) '외교/국제 관계'(15%)(-3%포인트), '열심히 한다/노력한다'(14%), '대북/안보 정책'(10%)(+5%포인트), '안정적인 국정 운영'(8%)(+3%포인트), '주관, 소신/여론에 끌려가지 않음'(7%)(-4%포인트) 등으로 나타났으며 소수 응답 중에는 2주째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1%)가 포함됐다.
긍정 평가 이유에서 '대북/안보 정책' 응답이 10%에 달한 것은 작년 10월 둘째 주 이후 3개월 만이다. 정부는 4차 북핵실험 직후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개성공단 출입·체류인원 제한 조치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13일 대국민담화를 통해 안보·경제 위기 극복과 4대 개혁 등을 강조했다.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472명)는 부정 평가 이유로(자유응답) '소통 미흡'(16%), '공약 실천 미흡/입장 바뀜'(10%), '경제 정책'(10%), '국정 운영이 원활하지 않다'(8%) 등을 지적했고 그 외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7%), '외교 문제'(5%), '보육/누리과정 예산 문제'(1%)도 2주 연속 언급됐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 응답률은 19%(총 통화 5,237명 중 1,005명 응답 완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朴대통령 부정평가 원인 1위 여전히 소통 미흡” 긍정평가 1위 ‘외교/국제 관계’
입력 2016-01-15 1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