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까지 뉴스테이 10만6000가구 부지 확보

입력 2016-01-14 10:00
정부가 올해부터 내년까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등을 통해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 10만6000가구의 부지를 확보한다. 1차 뉴스테이 공급촉진지구로는 서울시 문래동, 과천시 과천·주암동, 의왕시 초평동 등 8곳이 선정됐다.

국토교통부는 14일 세종시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6년 정부합동 업무보고회에서 이와 같은 내용의 주거안정 강화와 민간투자 활성화 방안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국토부는 보전가치가 낮은 그린벨트와 기능을 상실한 공업지역, 해제·완화된 농업진흥지역을 활용해 올해 5만가구, 내년 5만6000가구 등 2017년까지 총 10만6000가구의 뉴스테이 부지를 추가로 확보하기로 했다.

지난해까지 이미 확보된 부지(2만4000가구)를 합하면 내년까지 총 13만가구 규모의 뉴스테이 부지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또 1차 뉴스테이 공급촉진지구 후보지로 서울 문래·대구 대신·과천 주암·의왕초평·인천계양·인천남동·인천연수·부산기장 등 8곳을 선정하고 연내 지구지정을 거쳐 뉴스테이 등 1만2000가구를 공급한다. 대학생·사회초년생·신혼부부 등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인 행복주택은 올해 23개 지구에서 1만824가구의 입주자를 모집한다.

공공임대주택 공급방식도 다양화한다. 고령자 전세임대주택(2000가구)을 도입하고 임대주택과 사회복지시설을 복합한 공공실버주택은 계획보다 많은 900가구(11곳)를 짓는다. 공공기관이 낡은 주택을 리모델링해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방식(2000가구)을 올해부터 본격화하고, 기대 이상 인기를 끈 ‘집주인 리모델링 임대사업’을 활용해 400가구를 공급한다.

비영리단체·사회적 기업이 운영하는 ‘사회적 임대주택’ 시범사업(500가구)을 시작하고 낙후지역에 임대주택과 인프라를 함께 건설·정비하는 ‘마을정비형 공공임대주택 사업’(1200가구)도 지속 추진한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