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가 농산물 생산 기반을 바탕으로 가공·유통·수출·관광을 연계한 6차산업 시스템 활성화에 나선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4일 경제부처 합동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농업 6차산업화를 통한 농촌경제 및 수출 활성화 방안’을 보고했다. 6차 산업은 1차 산업(농수축산업), 2차 산업(제조업), 3차 산업(서비스·문화·관광업 등)을 연계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을 말한다.
우선 농업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스마트팜’을 확산한다. 2017년까지 현대화된 온실(1만㏊)의 40%인 4000㏊에 이르는 스마트 온실을 보급하고, 스마트 축사도 전업농의 10%에 해당하는 730가구까지 보급한다. 국내 환경에 맞는 스마트팜 생육관리 소프트웨어를 개발·보급하고, 현장 지원센터 8곳을 운영해 현장 애로사항 해결에 나선다.
또 공동경영체인 들녘경영체를 지난해 224개소(5만1000㏊)에서 올해 250개(5만5000㏊)로 늘려 농산물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고, 주산지 중심 자율적 수급조절 체계를 구축한다. 농식품 가공과 창업을 활성화하고자 농산물 종합가공센터를 기존 30개소에서 44개로 확대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기존 6차산업 창업지원 기관 46곳을 연계해 사업화에 필요한 멘토링과 자금을 지원한다.
올해 농촌체험마을 전체 방문객 1000만명, 외국인 방문객 100만명을 목표로 특색 있는 관광상품을 개발하고 서비스 질을 높여나간다. 고택·종택·전통음식 테마상품, 쇼핑·건강 등과 연계한 패키지 관광상품, 코레일 연계 관광상품 등을 개발할 예정이다.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겨냥해 ‘2016∼2018 한국 방문의 해’ 행사와 연계해 중화권을 중심으로 해외 현지에서 한국 농촌체험마을 홍보를 강화한다. 에어비앤비, 호텔스닷컴 등 해외 숙박 예약시스템에 농가 민박과 체험마을 150개소를 등재해 농촌 숙박·체험을 온라인으로 편리하게 예약하는 여건도 만든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
스마트팜·들녘경영체 확산…농촌체험마을 방문객 100만명 목표
입력 2016-01-14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