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3일 19대 국회를 향해 "동물국회가 아니면 식물국회가 될 수밖에 없는 수준밖에 안되는가 이거죠"라며 "어떻게 보면 선진화법을 소화할 능력이 안되는 결과라고 본다"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대국민담화 및 기자회견을 갖고 그동안 마음에 담아뒀던 말을 토해내듯 19대 국회의 입법마비 행태를 조목조목 지적하며 강력히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그때(선진화법 제정시)는 동물국회였는데 지금은 식물국회가 됐다"며 "대화와 타협으로 국회를 운영하라는 (선진화법) 취지를 살려도 모자랄 판에 오히려 정쟁을 가중시키고 국회 입법기능마저 마비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중요한 민생법안들이 직권상정으로 밖에는 어떻게 할 수가 없다는 상황이 대한민국 상황"이라며 "국회의장께서도 국가와 국민을 위해 생각하시지 않겠는가. 그래서 국민과 국가를 생각해 판단을 내려주실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는 정 의장의 직권상정을 우회적으로 요청한 것으로 해석됐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진실한 사람' 발언과 총선심판론과 관련한 질문에 "진실한 사람은 진정으로 국민을 생각하고 나라를 걱정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라고 전제한 뒤 "그런 사람들이 국회에 들어가야 국회가 제대로 국민을 위해서 작동이 되지 않겠습니까. 국회도 다 사람이 하는 건데…"라고 말했다.
이어 "(총선) 심판론에 대해 말씀하셨는데 하여튼 적어도 20대 국회는 최소한도 19대 국회보다는 나아야 한다"며 "20대 국회는 사리사욕이나 당리당략을 버리고 오로지 국민을 보고 국가를 위해 제대로 일할 수 있는 사람들이 모여 정말 나라발전을 뒷받침해주고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20대 국회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당청관계와 관련해선 당이 청와대를 비판해야 건강한 관계라는 세간의 인식이 잘못됐다고 반박하면서 "그렇게 생각하면 만날 싸우면 최고의 관계죠. 정책은 어떻게 실현이 되거나 말거나...그건 아니라고 봅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은 위안부 합의, 누리과정 예산, 청년수당 논란 등에 대한 야권의 공세를 "정치공격", "왜곡", "매도와 포퓰리즘" 등으로 규정하며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위안부 합의와 관련, "정작 자신이 책임있는 자리에 있을 때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시도조차하지 못해놓고 이제와서 무효화를 주장하고 정치적 공격의 빌미로 삼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모습"이라고 반박했다.
박 대통령은 "정부가 소녀상을 가지고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거든요. 그런데 자꾸 왜곡하고 이상하게 이야기한다는 것은 정말 바람직하지 않은 없는 문제를 자꾸 일으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야당 소속 교육감들이 문제삼는 누리과정 예산에 대해 "아이들을 볼모로 잡고 사실을 왜곡하면서 정치적 공격 수단으로 삼고 있어 참으로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서울시의 청년수당과 성남시의 무상복지 논란을 겨냥, "'우리가 좋은 일 하려는데 왜 중앙정부가 훼방놓고 있느냐'는 식으로 매도하는 것, 이것 자체가 포퓰리즘"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안철수 신당 출현에 따른 야권 분열상에 대해 "정당이 이합집산하는 일이 반복돼왔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그렇게 하는 목적"이라며 "4년 동안 제대로 일하지 않다가 국민의 심판을 회피하기 위해서 하는 건지, 국민을 위한 진실한 마음에서 그러는 것인지 국민들이 현명하게 판단하시리라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박 대통령은 한노총의 노사정 대타협 파기 가능성에 대해 "어떤 일이 있어도 이행돼야 하고 또 한쪽이 파기했다해도 파기될 수가 없는 것"이라고 강조한 뒤 "한국노총에 여러차례 의논하자, 대화로 풀어보자 했는데 한번도 나오지 않았어요. 참 안타까운 상황 아닙니까. 한반도 나오지도 않고..."라면서 서운함을 표시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19대 국회, 동물국회 아니면 식물국회” 朴대통령 “진실한 사람, 20대 국회로”
입력 2016-01-13 1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