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합의 정치 공격 안타깝다” 朴대통령, 야권 우회비판

입력 2016-01-13 16:56

박근혜 대통령이 13일 한일 간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에 대해 적극적인 방어에 나선 데에는 합의를 둘러싼 논란을 조기에 종식시키겠다는 의지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이날 신년 기자회견에서 위안부 합의에 대한 질문에 "최대한의 성의를 갖고 지금 할 수 있는 최상의 어떤 걸 받아내 제대로 합의가 되도록 노력한 건 인정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 합의에서 논란이 된 일본의 법적책임 인정 문제와 관련, 피해자와 지원단체들이 공히 중요시한 '일본군의 관여 명시, 일본 정부 차원의 공식 사과, 일본 정부 돈으로 피해보상'을 충실히 반영했다고 강조했다.

국내 피해자 운동 진영은 이번 합의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범죄적 성격을 기술하지 않은 점 등을 들어 책임 인정과 사과가 여전히 미흡하다고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정부가 협상에 최선을 다했다는 점을 부각하며 피해자들의 요구사항이 최대한 반영된 결과임을 역설했다.

지난달 28일 합의 이후 여진이 이어지고 있지만 정부로서는 최선의 노력을 통해 얻어낸 외교적 결과물인 만큼 논란의 장기화로 합의 이행 동력이 소모되는 상황을 방치하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박 대통령이 "정작 자신이 책임 있는 자리에 있을 때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시도조차 못 해놓고 이제 와서 무효화 주장을 하고 정치 공격 빌미로 삼는 것은 안타까운 모습"이라며 야권을 사실상 겨냥한 것도 같은 차원으로 읽힌다.

야권에서 제기되는 위안부 합의 무효화 주장에 '정치 공격' 성격이 있다고 규정하면서 강력한 '반박 여론전'에 나서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박 대통령은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문제에 대해서도 "자꾸 왜곡하고 이상하게 얘기하는 것은 없는 문제를 자꾸 일으키는 것"이라며 다소 강한 어조로 선을 그었다.

합의가 순항하려면 소녀상 문제를 둘러싼 논란을 어떻게든 차단해야 한다는 상황 인식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소녀상 문제를 '한국 정부로서도…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한다'고 명시한 한일 합의 내용은 양국에서 계속해서 공방의 소재가 되고 있다.

특히 일본 언론에서 소녀상 이전이 일본 측 기금 출연의 전제라는 식의 보도가 나오고,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도 소녀상이 이전될 것으로 생각한다는 등의 발언을 하면서 '이면 합의'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박 대통령은 일본 측에도 합의 정신을 준수하라는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 마이니치 신문 기자가 "한국 정부가 국내적으로 어떤 설득 작업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고 질문하자 박 대통령은 "일본 정부와 일본 언론이 어떻게 하느냐도 대단히 중요하다"고 답한 것이다.

위안부 합의 이후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기회는 많이 있다"며 올해 중 국제회의 등을 거론, 자연스럽게 성사될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으로 보인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