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한일간 위안부 협상과 관련 “제대로 인정해 달라”고 주문했다. 비슷한 피해를 겪은 동남아 일부 국가에서는 한국처럼 해결해 달라고 일본 정부에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또 “최대한 성의를 가지고, 지금 할 수 있는 최상의 것을 받아낸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이전은 “정부가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있는 것 아니다”라고 단언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13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대국민담화를 했다. 북한 수소탄 실험 문제와 노동관련 법안 통과를 국회에 주문하며 월남 패망을 언급하는 등 200자 원고지 무려 49매 가량의 긴 이야기를 했다. 이 담화문 가운데 위안부 이야기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질의응답에서 위안부 문제가 나왔다. 박 대통령은 단상에 놓인 자료를 보면서 “협상이라는 것이 여러 현실적 제약이 있어 100% 만족 못 하죠”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이 문제가 24년 동안 어떤 정부에서도 역대 정부에서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심지어 포기까지 했던 아주 어려운 문제”라고 규정했다.
박 대통령은 현실적 조건들 먼저 이야기했다. 지난해에만 아홉 명의 할머니가 돌아가셨고, 마흔 여섯 분이 남아 있으며, 평균 연령은 89세로 정말 시간이 없었다고 했다. 이어 “한 분이라도 생존해 계실 때 사과도 받고 마음의 한 풀어야 한다는 절박한 다급함 그런 심정으로 노력했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피해 당사자와 어떤 사전 접촉이 있었느냐는 질문도 있었지만, 박 대통령은 “지난해만 해도 외교부 차원에서 지방 곳곳을 다니며 15차례 피해자 할머니들하고 만나서 노력했다”라고 답했다. 자신은 국제사회에서 기회 있을 때 마다 이 문제를 언급했다고 했다.
야당이 ‘소녀상의 눈물’ 이라며 합의 무효화를 외치는 데 대해서는 “정치적 공격”이라고 답했다. 박 대통령은 “자신들이 책임 있는 자리에 있을 때는 시도조차 못해 놓고”라며 참여정부 출신 야권 인사들을 의식한 듯 공세를 펼쳤다. 박 대통령은 “합의 내용이 충실하게 이행돼 피해자 명예와 존엄이 회복되길 바란다”며 “이해 구하는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라고 답변을 마무리했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朴대통령 “위안부 협상 인정해 달라…소녀상 이전, 관여 않는다”
입력 2016-01-13 1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