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수술 후 살이 찐 환자들의 생존율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높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위 절제 후 체중이 급격히 감소하는 위암 환자의 수술 후 체중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은 위암팀 박재명(소화기내과)·송교영(위장관외과)·이한희(소화기내과) 교수 연구팀이 2000년부터 2008년까지 8년간 위암 진단 후 위 절제 수술을 받은 환자 1905명의 수술 전후 체중과 예후(회복경과)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수술 전·후 모두 체질량지수 과체중군의 5년 생존율이 저체중 혹은 정상체중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국제 학술지에 보고했다고 13일 밝혔다.
수술 전 체질량지수에 따른 5년 생존율은 저체중군 69.1%, 정상체중군 74.2%, 과체중군 84.7%이었다. 수술 1년 후 조사 대상자 중 체중이 확인된 1418명의 5년 생존율은 저체중군 67.5%, 정상체중군 83.6%, 과체중군 93.6%였다. 수술 후 체질량지수 증가가 생존율 향상에도 기여한다는 것이 확인된 셈이다.
연구팀은 “환자의 나이, 성별, 수술종류, 위암 병기등을 보정 분석한 결과, 수술 1년 후 과체중 환자는 정상체중보다 사망률이 의미 있게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전했다.
특히 수술 1년 후 과체중군은 전체생존률 뿐 아닌 무재발 생존율과 질병 관련 생존율도 저체중이나 정상체중 군보다 높아서 눈길을 끌었다.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며, 2012년 기준 국내 위암 환자 수는 약 3만 명에 이른다. 과거에는 진행성 위암이 대다수여서 ‘수술 후에 얼마나 오래 살 수 있는가?’에만 관심을 가졌으나, 최근 조기위암으로 수술 받고 장기 생존하는 환자가 증가하면서 ‘잘 먹고 잘 사는 법’에 대한 관심이 날로 커지는 추세다.
위는 섭취한 음식물을 잘게 부수어 소장으로 내려 보냄으로써 소화와 흡수를 돕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위절제술을 받으면 예전처럼 많이 먹을 수도 없다. 또한 흡수도 잘 안되어 대부분의 환자들은 급격한 체중감소 및 영양결핍을 경험하게 된다.
송교영 교수는 “흔히 위암 환자는 수술 이후나 항암치료 과정에서 음식을 먹는 것조차 고통일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에 맞게 음식을 부드럽게 만들거나 짜거나 매운 음식을 피하되 과거 환자가 좋아하고 즐겨 먹던 음식을 평상시와 동일하게 먹도록 가족들이 함께 도와주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유럽암학회 기관지인 ‘유로피안 저널 오브 캔서(EJC)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위암 수술 후 살찐 환자가 더 오래 산다
입력 2016-01-13 1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