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샘암과 유방암은 여성에게 흔히 발견되는 암이다. 우리나라 여성의 경우 갑상샘암이 발생 1위, 유방암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발생 빈도가 높은 유방암과 갑상샘암의 연관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많다. 유방암이 있는 경우 갑상샘암이 좀 더 많이 진단되고, 반대로 갑상샘암 환자에서도 마찬가지 유방암 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암이 모두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고, 갑상샘암이나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경우 다른 암 발생에 대한 검진을 자주 시행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진단율이 더 높아졌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 다른 원인과 관련해서는 갑상샘암 치료 후 시행하는 방사성 요오드 치료로 인한 방사선에 의한 영향이 고려되고 있다. 하지만 갑상샘암 방사선 요오드 치료는 유방암 발생 위험을 더 높이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앙대병원 내분비내과 안화영 교수와 서울대병원 박영주 교수팀은 과거 유방암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6150명의 갑상샘암 환자들 가운데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받은 3631명을 6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불과 99명(2.7%)의 환자에게서만 유방암이 재발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즉, 갑상샘암 환자에게 있어 방사성 요오드 치료가 유방암의 발생 위험을 높이지 않고, 유방암의 재발 위험도 역시 높이지 않는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안화영 교수는 “갑상샘암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 방사선 노출로 인해 유방암 등 2차암이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해 걱정들을 많이 한다”면서 “하지만 연구결과 갑상샘암 환자의 방사성 요오드 치료로 인해 유방암의 발생 및 재발 위험은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입증됐다”고 말했다.
유방암과 갑상샘암의 상관 관계는 두 암에 대해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환경적, 유전적 요인이 관계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아직 확실하게 알려져 있진 않다. 일각에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젠이 두 암의 발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안 교수는 “갑상샘암이나 유방암으로 각각 진단된 여성 환자들은 다른 암이 발생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정기 검진을 시행해 조기에 암을 발견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임상내분비대사학저널’ 최신호에 발표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갑상샘암 방사성 요오드 치료하면 유방암 생긴다고?
입력 2016-01-12 1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