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3일은 미주 한인의 날’
‘한국 사위’로 소문난 래리 호건 메릴랜드 주지사와 유미 호건 여사는 11일(현지시간) 오후 메릴랜드 주 아나폴리스의 주의사당에서 미주 한인의 날 선포 기념식을 개최했다.
1월 13일은 1903년 한인 이민 선구자들 102명이 갤릭호를 타고 태평양을 건너 사탕수수 농장의 노동자로 하와이에 첫발을 내디딘 날이다. 미 연방 상·하원이 2005년 이날을 미주 한인의 날로 제정·공포했으나, 주 정부 차원에서 이를 별도로 선포해 기념하는 것은 또 다른 의미가 있다.
호건 주지사는 이날 기념사에서 미주 한인 이민 역사 113주년을 기념하면서 한인 이민자들이 미 주류사회의 다방면에 기여한 공로와 더불어 미주 한인사회의 모범적인 성장을 높이 평가했다.
호건 주지사는 “한인사회는 메릴랜드는 물론이고 미국 전체에 매우 중요하다. 한인사회는 지난 한 세기 넘게 미국의 부와 다양성 증진에 기여해 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 말로 “나 스스로 한국 사위라고 불리는 것이 매우 자랑스럽다”고 덧붙였다.
호건 주지사는 암 투병 과정에서 자신의 쾌유를 위해 기도하고 성원해 준 한인사회에 고마움을 표시하는 대목에서 잠시 울컥하며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그는 지난해 6월 암의 일종인 비 호지킨 림프종(non-Hodgkin Lymphoma)에 걸린 사실을 자진해 공개했으며 화학치료를 거쳐 같은 해 11월 암 완치를 선언했다.
안호영 주미 대사는 인사말에서 “한때 미국의 수도였던 유서 깊은 메릴랜드 주의사당에서, 그것도 한국 사위 호건 주지사와 한국계는 물론 아시아계로서도 첫 주지사 퍼스트레이디인 호건 여사가 한미관계 발전에 좀 더 기여하겠다는 취지로 이번 행사를 마련해 더욱더 특별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안 대사는 호건 주지사 부부를 한미 간 우의의 대표적인 상징이라고도 평가했다.
메릴랜드 주지사 측은 “미주 한인의 날 선포 및 기념식을 주의사당 주지사 응접실에서 개최하는 것은 처음이고 이례적인 일”이라고 밝혔다. 호건 주지사 부부는 주지사 취임 이후 아시아 순방 일정 중 한국을 가장 먼저 방문했고, 또 주지사 관저에서 처음으로 김치냉장고를 들여놓는 등 한국 사랑으로 유명하다.
이날 기념식에는 안 대사 부부와 강동호 총영사 부부 이외에 서재홍 수도권메릴랜드한인회 회장, 임소정 워싱턴한인연합회장 등 각계 한인 지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김철오 기자
‘1월 13일은 미주 한인의 날’ 선포
입력 2016-01-12 08:46 수정 2016-01-12 0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