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한 중국의 대북 제재 범위에 북한의 '생명줄'인 원유 공급 중단이 포함될지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중국이 원유 공급을 전면 중단하면 북한 사회는 일주일 만에 대혼란을 겪게 될 것이라는 전문가 전망이 나왔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인 에너지경제연구원의 김경술 선임연구위원은 11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북한은 원유 수입을 100% 중국에 의존하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북한은 중국 단둥(丹東)의 송유관을 통해 수입한 원유를 신의주 붕화화학공장에서 정제해 사용하는데 중국이 송유관을 차단하면 휘발유와 경유, 중유 등 사회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석유제품의 공급이 뚝 끊기게 된다.
김 연구위원은 이럴 경우 "일반 수송 부문은 물론 군사부문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사회경제 활동이 마비되고 인플레가 발생, 물가가 치솟으면서 사회 불안으로 내부 폭동이 일어나는 등 북한 사회가 붕괴 상태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북한이 '선군정치'를 내걸며 중요시하는 군사 부문의 경우 군용 트럭과 탱크가 '올스톱'되고 군함과 군용기 운용에도 영향을 미쳐 군사적으로 적잖은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게 김 연구위원의 분석이다.
북한이 전쟁 물자 비축을 위해 일정량의 원유를 보유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 양은 사회 전반의 혼란을 해결할 만큼 많지는 않을 것으로 그는 추정했다.
북한은 중국으로부터 지난 2013년 423만 7천 배럴과 2014년 388만 5천 배럴의 원유를 각각 수입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김 연구위원은 설명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中 원유공급 중단땐 北 정권 붕괴 사태 직면” 일주밀만에 대혼란
입력 2016-01-11 1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