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개 정부기관 인사혁신 점수 다음달초 공개” 우수 보통 미흡 평가

입력 2016-01-10 09:09

인사혁신처(이하 인사처)가 올해부터 각 부처 인사혁신 수준을 처음으로 평가하고 내달초 그 결과를 공개한다.

인사처 관계자는 10일 "각 부처의 인사혁신 추진 상황을 진단하기 위해 인사혁신 지수를 만들었으며, 2월 초에 진단 결과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인사처는 출범 이후 지난 1년 동안 혁신을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는 어느 정도 구비했다고 보고, 전 부처로 혁신을 확산시키기 위해 지수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특히 인사처가 전 부처에 대한 평가 결과를 공개하기로 하면서, 혁신 성과가 저조한 기관은 상당한 압박감을 느낄 것으로 보인다.

평가 대상은 국무조정실 등 24개 장관급 기관과 국세청 등 21개 차관급 기관 등 45개 중앙행정기관이다.

진단 항목은 혁신기반 20%와 혁신과정·성과 80%다.

혁신 기반은 인사혁신을 추진을 위한 기본적인 역량 수준을 진단하는 항목으로, 기관장의 인사혁신 추진 의지와 자체 인사혁신 계획 우수성 등으로 구성돼 있다.

혁신과정·성과 항목으로는 ▲개방형 직위 민간인재 유치 노력 ▲인재육성 ▲필수보직 기간 준수율 ▲전문직위 운영 현황 ▲능력·성과 중심의 성과관리 노력도 ▲연가·유연근무 이용 활성화 노력 ▲시간선택제 공무원 활성화 정도 등이다.

인사처는 지난해 11∼12월 진단팀을 구성해 1차 진단을 실시했고, 올해 1월부터 2차 진단을 실시하고 있다.

인사처는 현재까지 진단 결과 대다수 기관에서 채용의 개방성과 전문직위 운영, 필수보직 기간 운영, 성과 관리 분야에서 미흡한 점수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번 평가를 통해 각 부처의 순위가 모두 매겨지지만, 결과는 우수·보통·미흡으로만 발표한다,

인사처는 혁신 실적이 우수한 기관에 대해서는 교육·훈련 우선 배정, 국제기구 파견 우선 배정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다.

반면 혁신 실적이 저조한 기관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인사 관련 행정학자나 인사 담당 기업 임원 출신 등이 실시하는 컨설팅을 받도록 할 방침이다.

인사처는 일회성 조사에 그치지 않고, 매년 1∼2월 전년도 인사혁신 실적을 조사한 뒤 평가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