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2015년 1월 5~7일 전국 성인 1021명에게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일 간 합의에 대해 물은 결과 26%는 '잘됐다', 56%는 '잘못됐다'고 답했으며 20%는 평가를 유보했다.
지지정당별로 보면 새누리당 지지층(407명)은 50%가 '잘됐다', 29%가 '잘못됐다'고 평가했으나, 더불어민주당 지지층(213명)은 80%가 '잘못됐다'고 봤으며 무당층(324명)에서도 62%가 '잘못됐다'고 답해 부정적 견해가 더 우세했다.
이번 합의가 잘됐다고 보는 사람들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267명, 자유응답) '합의/결실/문제 해결'(22%), '사과, 사죄 받아냄'(18%), '과거사 청산/미래로 가야 함'(18%), '최선을 다함/그나마 잘됨'(12%), '한일 관계 회복/갈등 해소'(10%) 등을 답했다.
합의가 잘못됐다고 보는 사람들은(552명, 자유응답) 그 이유로 '위안부 할머니 의견 안 들음'(34%), '사과 불충분/불명확'(12%), '돈으로 해결하려 함'(9%), '너무 많이 양보/일본에 끌려감'(8%), '국민 여론 수렴 부족'(8%) 등 주로 합의 과정과 내용 면에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우리 국민 중 72%는 일본 정부의 합의 이행 여부와 무관하게 주한일본대사관 앞에 있는 위안부 소녀상을 '이전해선 안 된다'는 입장이며, 일본 정부가 착실히 이행한다면 '이전해도 된다'는 17%에 그쳤고 11%는 의견을 유보했다.
일본 정부가 합의를 이행하더라도 소녀상을 이전해선 안 된다는 응답은 성, 연령, 지역, 지지정당 등 모든 응답자 특성에서 우세했으며, 특히 이번 합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사람들(267명) 중에서도 '이전 가능'(39%)보다 '이전 불가'(48%) 의견이 더 많았다.
우리 국민 중 72%는 이번 합의에서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사과하지 않은 것으로 본다'고 답했으며 '사과한 것으로 본다'는 19%였고 9%는 의견을 유보했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 응답률은 23%(총 통화 4,530명 중 1,021명 응답 완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한일 위안부 합의 잘했다는 평가 26% 불과” 잘못했다 56% 압도적
입력 2016-01-08 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