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북풍으로 보수결집 꾀하는지 의심”…총선 영향 우려도

입력 2016-01-07 20:29

더불어민주당(이하 더민주)은 7일 북한의 핵실험을 강하게 규탄하는 한편, 정부 대응을 '안보무능'이라고 비판하면서 대여 공세의 날을 세웠다.

또 전문가 좌담회를 열어 대응책을 논의하는 등 북핵 정국에 발빠르게 대처하며 그동안 취약하다고 평가받아온 외교·안보에서 '유능한 정당'의 면모를 부각시켰다.

한편에서는 정부·여당이 선거를 앞두고 국민 불안감을 이용해 안보정국을 조성, 보수층을 결집하는 등 선거에 이용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우려를 드러내기도 했다.

더민주는 이날 국회 당대표 회의실에서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 고유환 동국대 교수, 김기정 연세대 교수, 김준형 한동대 교수 등 전문가들과 함께 긴급 좌담회를 열어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

문재인 대표는 좌담회에서 "우리 당은 평화를 깨뜨리는 북한의 행위를 결코 용납될 수 없다"며 북한의 핵실험을 규탄했다.

그러면서도 "새누리당 정부 8년간 북핵문제 해결은커녕 북한의 핵능력이 갈수록 고도화되는 걸 속수무책으로 방치해 왔다"며 정부에 쓴소리를 했다.

김기정 교수도 "(핵 도발은) 북한의 자폐적 인식구조, 강성대국론이라는 망상이 1차적 원인이지만, (박근혜 대통령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도 실제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우리에게 지난 8년간 현명한 대북정책이 있었나"라고 반문했다.

정부·여당이 북핵 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왔다.

정세현 전 장관은 정부가 총선을 앞둔 시점에 단행된 북한 핵실험을 계기로 보수층 결집을 꾀하려하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을 표했다.

앞서 이종걸 원내대표도 전날 "북한은 18대·19대 총선 때도 미사일 발사를 통해서 선거 분위기 등 여러 가지 구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며 걱정했다.

좌담회 사회를 본 홍익표 의원은 브리핑에서 "정부는 북한이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를 하면 사후적으로 강경대응을 해왔는데 그런 일 자체가 일어나지 않게 예방하고 관리해야 한다. 당차원의 대응이나 우리가 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더민주는 정부 정책을 비판하면서도 안보 위기 극복을 위해 초당적 협력을 강조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정책조정회의에서 "정부·여당과 초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입당한 이수혁 전 6자회담 수석대표는 MBC 라디오에 출연, "강압만 가지고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대화할 수 있는 틀을 유지해야 한다"며 6자회담 재개를 촉구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