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군 당국이 6일 북한의 4차 핵실험을 수소폭탄 실험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한 주된 이유는 폭발력이 약했기 때문이다.
군 관계자는 이날 "과거 미국과 옛 소련이 실시한 수소폭탄 실험의 위력은 20∼50메가t(1메가t = 1천kt)이었다"며 "(이번 핵실험 위력인) 6kt은 상당히 약한 폭발력"이라고 평가했다.
군 당국의 이 같은 분석은 국가정보원을 비롯한 국내 정부기관과 외국 전문가들의 판단과 대체로 일치한다.
국정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보고에서 이번 핵실험의 위력을 6.0kt으로 추산하고 이번 실험이 수소폭탄 실험은 아닐 것으로 판단했다.
수소폭탄의 위력은 최소한 수백kt에 달하며 실험이 실패한 경우라 하더라도 수십kt은 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 핵실험의 위력은 2013년 2월 3차 핵실험 위력인 7.9kt에도 크게 못 미친다.
북한이 실제로 수소폭탄을 개발했다면 폭발실험을 북한 땅에서 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일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전문가는 "수소폭탄의 위력은 너무 크기 때문에 과거 미국도 남태평양에서 실험을 실시했고 옛 소련은 시베리아에서 했다"며 "좁은 북한 땅에서 수소폭탄 실험을 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군 당국과 전문가들의 이 같은 평가와는 달리 북한은 이날 '정부 성명'을 통해 "주체 조선의 첫 수소탄 시험이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선전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북한이 수소폭탄에는 못 미치지만 원자탄보다 기술적으로 앞서는 '증폭핵분열탄' 실험을 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증폭핵분열탄은 수소폭탄의 전 단계로, 핵융합을 할 수 있는 중수소 등을 활용해 원자탄의 폭발력을 증폭시킨 것을 가리킨다.
국방부의 한 전문가도 이날 더불어민주당 회의에서 "1∼3차 핵실험이 핵분열탄이었고 그 다음(이번 핵실험)에는 약간의 핵융합 기술을 가미한 증폭핵분열탄 실험을 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군 관계자는 "북한이 기존 원자탄도 소형화하지 못한 상태"라며 "증폭핵분열탄은 구조가 더 복잡한 만큼, 개발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북한이 증폭핵분열탄 기술을 확보했는지에 대해서는 군 내부에서도 의견이 완전히 정리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군 당국은 북한이 이번 핵실험에서 어떤 종류의 탄을 사용했는지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북한 핵실험장에 대한) 관측은 계속 진행 중"이라며 "(폭발로) 땅이 꺼진 모양이나 주변 수목의 변색 등 여러 징후를 관찰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북한 땅에서 수소폭탄 실험 어려워” 군, 4차 핵실험 폭발력 약하다고 판단
입력 2016-01-06 2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