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 총장 선출 직선제 도입 안한다

입력 2016-01-06 19:24
신임 총장 선출방식을 놓고 갈등을 빚었던 강원대학교가 직선제를 도입하지 않기로 했다.

강원대는 6일 오후 대학본부에서 교무회의를 열고 ‘직선제 총장선거를 위한 학칙개정안’을 부결시켰다. 직선제 찬성은 8표, 반대 25표, 기권 4표였다.

직선제를 강행해 정부로부터 재정·행정적인 제재를 받기보다 간선제를 도입해 실리를 찾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 교수는 “지난해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D등급을 받은 상황에서 간선제를 도입해 정부로부터 각종 제재를 받게 된다면 대학이 더 퇴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학본부 관계자는 “학교를 안정시키는 게 최우선이라고 판단했으며 직선제 요소를 가미한 간선제로 새 학기 시작 전에는 총장을 선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강원대가 대학구조개혁평가 D등급에 따른 제재 조기해제를 조건으로 교육부의 정책에 협조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강원대는 최근 교육부와의 협의를 통해 간선제를 수용하는 대신 이른 시일 내에 제재를 해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업무협약(MOU)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결정으로 총장 선출방식을 둘러싼 학내 갈등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지난해 9월 구성된 강원대비상대책위원회는 대학의 자율성 회복을 위해 직선제를 주장하고 있다. 또한 지난달부터 대학본부에서 농성을 이어오고 있다.

앞서 강원대는 지난해 8월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D등급을 받아 지역거점국립대 중 유일하게 구조개혁 대상에 포함됐다. 신승호 전 총장이 구조개혁 평가에 대한 책임을 지고 지난 9월 사퇴했고 신임 총장 선출 방식을 놓고 진통을 겪고 있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