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풍계리 핵실험장 인근에서 6일 오전 10시30분(한국시간) 규모 5.1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와 미국지질조사국(USGS), 중국지진센터 등이 밝혔다.
진앙은 양강도 백암군 승지백암에서 서쪽으로 20㎞ 가량 떨어진 곳(북위 41.3도, 동경 129.1도)으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인근이다.
지진 규모에 대해 EMSC는 당초 5.1로 발표했다가 5.2로 상향했고, USGS는 5.1, 중국지진센터는 4.9라고 밝혔다. 우리 기상청은 4.2로 발표했다.
진원의 깊이는 0㎞로 확인돼, 핵실험 등으로 인한 인공지진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기상청은 지진발생시간이 오전 10시30분 1초라고 확인하며 "인공지진이 확실하다"며 핵실험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중국지진센터도 폭발로 추정된다고 웹사이트를 통해 발표했다. 중국 포털사이트 신랑망(新浪·Sina.com)은 이날 중국지진센터를 인용해 북한에서 폭발로 추정되는 규모 4.9(미국지질조사국(USGS)은 규모 5.1로 분석)의 지진이 발생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신랑망은 "이론적으로 볼 때 규모 5.0의 지진은 TNT 2만2천t의 폭발량과 맞먹는다"며 "북한의 이번 핵폭발의 위력은 기본적으로 히로시마 원자 폭탄과 비슷하다"고 전했다.
또 폭발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수소폭탄 실험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규모 4.9를 기준으로 했을 때 폭발력은 최대 16.2kt에 달하는 수준이다.
일본 정부도 정확한 사태 파악에 나섰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과거의 사례에 비춰볼 때 북한에 의한 핵실험 가능성이 있다”며 “정보 수집과 분석을 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일본 기상청도 “북한에서 이날 오전 10시 29분께 북위 41.9도, 동경 129.2도에서 규모 5.1의 흔들림이 감지됐다”고 밝혔다.
지난 2013년 북한이 이곳에서 핵실험을 감행했을 때에도 규모 5 안팎의 인공지진이 발생한 바 있다.
지진 소식이 알려지자 외교부는 장관 주재 대책회의를 열고 상황 파악에 나섰으며, 국정원은 지진을 정밀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
북한 풍계리 핵시설 인근서 규모 5.1 인공지진…핵실험 추정
입력 2016-01-06 11:30 수정 2016-01-06 1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