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 10명 중 7명은 나이가 많아 취업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은 신입 구직자 87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67.1%가 자신의 나이가 신입 취업 적정연령을 넘겼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연령별로 ‘33세 이상’이 자신의 나이가 많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86%로 가장 높았다. 이어 ‘29세’(82.2%), ‘30세’(81.8%), ‘31세’(81%), ‘28세’(79.4%), ‘32세’(75%) 등의 순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33세 이상’(87.5%)에서 취업 적정연령을 넘겼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반면, 여성은 ‘29세’(96.6%)의 응답률이 가장 많았다.
적정연령을 넘길 만큼 취업이 늦어진 이유로 응답자들은 ‘취업난으로 구직기간이 길어져서’(41.8%,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들었다. 다음으로 ‘스펙부족으로 계속 떨어져서’(31.2%), ‘취업준비를 늦게 시작해서’(27.9%), ‘취업 진로를 바꿔서’(26%), ‘이전에 취업 후 조기퇴사 경험이 있어서’(19.2%)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구직자(729명)의 절반 이상(54.9%)이 면접에서 나이와 관련된 질문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받은 질문으로는 ‘취업 공백기 동안의 경험’(57.3%·복수응답)이 가장 많았고, ‘취업을 여태까지 못한 이유’(51.8%)가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선배직원보다 많은 나이에 대한 우려’(35.5%), ‘이전에 합격 또는 입사한 기업 여부’(21%), ‘늦은 취업에도 낮은 연봉에 대한 우려’(19.8%), ‘졸업을 늦게 한 이유’(17.8%) 등의 질문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혜림 선임기자 mskim@kmib.co.kr
구직자 10명 중 7명은 "나이 많아 취업 어려울 것"
입력 2016-01-04 0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