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을 비판하는 각종 시위가 잇따랐다.
‘21세기청소년공동체 희망’ 등 청소년 단체 회원 30여명은 2일 오후 1시쯤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합동 기자회견을 열어 “한일 외교장관 회담은 피해 위안부 할머니들의 요구를 전혀 반영하지 않았다”면서 “‘최종적·불가역적’이라는 표현으로 한국 정부는 더 이상 국제사회에 위안부 문제를 제기할 수 없게 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일본 정부에 “위안부가 강제적이었음을 인정하고 공식 사죄하라”면서 “피해 할머니들에게 법적 배상을 진행하면서 추모비·역사관을 설립하고 역사교육도 함께 하라”고 요구했다.
한편 오후 2시쯤 서울 종로구 평화비 소녀상 자리에서는 지난달 31일 주한 일본대사관 입주 건물의 로비에서 기습 시위를 벌이다 경찰에 연행됐던 대학생들이 기자회견을 열어 경찰과 정부를 비판했다. 이들은 경찰이 연행 과정에서 폭력을 행사했다고 주장하고 “경찰의 행태는 위안부 역사를 없던 것으로 치부하려는 폭력적인 한일 외교회담과 닮아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오후 1시부터 같은 장소에서는 ‘위안부 협상 무효 예술행동’이 열려 시민운동가·문화예술인들이 노래·시 낭송·연극 등으로 협상 결과를 풍자했다.
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
새해 연휴에도 ‘위안부 협상 타결’ 비판 행사 잇따라
입력 2016-01-02 1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