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F-15K 새해맞이 편대비행…"영공방어 이상무!"

입력 2016-01-01 00:08
우리 공군의 F-15K 전투기가 울릉도 상공에서 고도를 3.5㎞로 높이자 솜털 같은 구름이 눈 아래 펼쳐졌다. 수평선 너머로는 붉은 태양이 힘차게 솟아오르며 하늘과 바다를 붉게 물들이고 있었다..

F-15K 전투기는 다른 F-15K 3대와 편대를 이뤄 대구 비행장에서 이륙해 동해 상공에서 서북도서 상공으로 한반도를 가로지르고 대구 비행장으로 귀환할 계획이다. F-15K는 최대 시속 2826㎞에 작전 반경이 1800㎞에 달해 대한민국 상공을 종횡무진으로 움직이며 영공 방어 임무를 수행한다. 체공 시간도 3시간이 넘어 한반도 전역에서 작전을 펼칠 수 있다.

F-15K 편대가 울릉도 상공을 비행할 때 교신 스피커로는 “새해에도 우리 공군은 적 도발에 단호히 응징할 수 있는 전방위 대비태세를 유지하겠습니다. 국민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라는 힘찬 목소리가 울렸다. 편대를 이끄는 공군 11전투비행단 110전투비행대대 김성주(39) 소령의 새해 인사였다.

동해 상공에서는 E-737 공중조기경보통제기 ‘피스아이’가 편대에 합류했다. 피스아이는 고성능 레이더로 적 항공기를 포착해 지상 기지에 보고하고 아군 전투기를 지휘해 ‘공중의 전투지휘사령부’로 불린다. F-15K가 울릉도 상공의 일출을 뒤로하고 하얀 눈으로 덮인 백두대간을 넘자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 쓰일 스키 점프대와 알펜시아 리조트가 한눈에 들어왔다.

평창 상공에서 피스아이와 헤어진 F-15K 편대는 왼손을 펼친 모양의 ‘레프트 핑거 팁’ 대형을 이루고 시속 650㎞로 속력을 높여 서쪽으로 비행했다.

F-15K 편대 비행을 이끈 김성주 소령은 2010년 11월 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때 비상 대기 중인 F-15K에 장거리 공대지미사일 ‘슬램-ER’을 장착하고 연평도 상공으로 출격한 경험을 갖고 있다. 당시 F-15K 편대는 이튿날 새벽까지 NLL 상공에서 교대로 초계 임무를 수행했다. 공군은 연평도 포격 도발을 계기로 F-15K가 비상 대기할 때 공대공 무장뿐 아니라 JDAM(통합직격탄) 등 공대지 무장도 갖추도록 했다.

F-15K도 단거리 적외선 공대공미사일(AIM-9X) 2발, 중거리 레이더 공대공미사일(AIM-120C) 2발, 레이더 공대지미사일 GBU-39(SDB) 8발을 탑재했다. F-15K 편대가 동해 상공에서 적의 열추적 미사일을 회피하기 위한 조명탄인 ‘플레어’를 10발씩 발사하기도 했다. F-15K 조종사는 작전을 수행할 때 체중의 9배에 달하는 압력을 이겨내야 한다.

편대 비행을 마친 김성주 소령은 “새해에도 우리 공군은 적 도발시 단호히 응징할 수 있는 확고한 군사대비태세 유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