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최고위원회는 31일 비공개회의에서 최구식·성윤환 전 의원의 복당안을 심의해 추인했다.
최 전 의원은 지난 2008년 18대 총선을 앞두고 이방호 전 사무총장의 공천심사 결과에 항의해 탈당, 이후 무소속으로 당선된 뒤 복귀했으나 19대 총선을 앞둔 지난 2012년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사건'에 비서가 연루되면서 책임지고 다시 당을 떠났다.
최고위는 그동안 최 의원의 잇단 탈당을 문제삼아 복당 결정을 보류해왔으나 최 전 의원측은 디도스 사건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은데다 당을 위한 도의적 결단이라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성 전 의원은 지난 2012년 19대 총선을 위한 당 후보 경선에서 김종태 의원에게 패배한 뒤 경선 결과에 불복해 탈당했다. 2008년에도 18대 총선을 위한 공천 결과에 반발해 탈당, 무소속으로 출마해 경북 상주에서 당선된 뒤 복당한 바 있다.
한편, 최 전 의원이 내년 총선에 출마할 지역구인 경남 진주갑의 현역인 새누리당 박대출 의원은 이날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최고위 결정에 강하게 반발하며 복당 결정 취소를 촉구했다.
박 의원은 "최씨는 과거 문재인 대선후보를 지지 선언한 무소속 도의원 후보를 공개 지지하는 연설을 하는 등 명확한 증거가 드러나는 해당 행위가 무려 5건에 이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고위에서 재심을 통해 복당 결정을 즉각 번복하고 김만복 전 국정원장 사례와 동등한 기준을 적용해 제명 처분해야 한다"며 "이마저도 끝내 거부된다면 경선 및 공천자격심사위를 통해 최씨의 경선 및 공천자격을 박탈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최 전 의원의 복당 결정은 총 8명의 최고위원 중 6명이 회의에 참석한 가운데 찬성 3명, 반대 3명의 투표 결과에 따른 것이라고 박 의원은 전했다.
그러면서 "이처럼 가부 동수일 경우 김무성 대표최고위원에게 결정권이 있는 걸로 아는데, 이 경우 대표는 두 번의 투표권을 갖는 셈이 아니냐"면서 공정성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박 의원은 과거 최 전 의원이 디도스 사건으로 새누리당을 탈당, 2012년 4월 무소속으로 출마했을 당시 새누리당으로부터 공천을 받고 진주갑으로 출마해 최 전 의원을 꺾고 당선됐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與, 최구식·성윤환 복당 추인…현역 박대출 거센 반발
입력 2015-12-31 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