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석 압승이 총선 목표” 김무성, 총선 승리에 올인

입력 2015-12-31 13:32

신년 화두를 '개혁'으로 삼은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최우선 목표는 4·13 총선 승리에 맞춰져 있다.

31일 발표한 신년사에서 "끊임없이 바뀌는 세상에서 변화를 거부하면 도태되고 퇴출당할 수밖에 없다"면서 "미래를 위해 행동하고 책임지는 정당으로서 반드시 총선에 승리해 더욱 큰 대한민국을 만들겠다"고 다짐한 것도 개혁을 위한 총선 승리 의지를 강조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총선을 통해 각종 민생·경제 법안 통과를 가로막은 야당을 심판하고, 다수결이라는 민주주의 기본 정신을 훼손한 국회선진화법을 무력화시켜야 한다는 게 김 대표의 강한 소신이라고 측근들은 전한다.

김 대표가 총선에서 과반이 아닌 '180석 이상'의 압승을 요구하는 것도 국회선진화법을 뛰어넘어 '식물국회'로 낙인 찍힌 제19대 국회와 절연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초에는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을 포함한 민생·경제 법안 통과와 노동개혁 완수 ▲국민공천제를 기본으로 한 공정한 공천룰 정립 ▲농어촌 대표성을 확보한 선거구획정안 마련 등에 주력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김 대표는 여론조사 경선에서 현재 50대 50으로 돼 있는 당원과 일반국민의 비율을 조정해 국민 참여 비율을 최대한 높임으로써 국민공천의 정신을 살릴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내 차기 대권 주자 지지율에서 줄곧 수위권을 지켜온 김 대표로서는 이번 총선 결과가 박근혜 대통령의 '그늘'에서 벗어나 '홀로서기'를 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다만 총선 공천개혁 의지에 대한 '후퇴' 논란은 김 대표가 극복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김 대표가 지난해 7·14 전당대회에서 대표최고위원으로 선출된 뒤 제일 먼저 내세운 게 바로 유력 정치인이나 특정 계파로부터 공천권을 떼내 국민에게 돌려주는 '공천 개혁'이었다.

심지어 전략 공천을 막는 데 '정치 생명'까지 걸면서 배수의 진을 쳤다.

그러나 애초 주장했던 완전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이 좌절된 이후 단수·우선추천제를 인정하고, 안대희 전 대법관 등에게 험지 출마를 요구하면서 스스로 후퇴 논란을 자초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김 대표 측 관계자는 "일부 인사들이 여론조사 경선에서 국민 비율을 높이는 등의 상향식 공천 강화를 반대하고 있지만 대세에 영향을 주지는 못한다"면서 "대표는 당의 단합을 총선 승리의 첫 번째 발판으로 보고 있으며, 분열 없이 공천 개혁을 완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 대표는 다음달 1일 새해 첫 공식 일정으로 당 지도부와 함께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을 참배한 후 곧바로 여의도 당사로 이동해 신년 인사회를 열어 총선 승리에 대한 의지를 다질 예정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