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내년 총선 공천에서 ‘1·2위 후보가 여론조사 결과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이는 경우’에 한해 결선투표를 치르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하지만 공천 심사에서 가산점을 주는 정치신인 범위와 여론조사 시 ‘국민 대 당원’ 비율, 안심번호제 도입 여부 등에 대해선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공천 룰 자체가 계파별 이해관계와 맞물려 있어 막판 진통을 거듭한 것으로 분석된다.
새누리당 공천제도특별위원회(공천특위)는 30일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7시간여 동안 마라톤회의를 했지만 쟁점 사안에 대해 다음 달 3일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공천특위는 정치신인 10%, 여성·장애인 신인 20%를 가산점으로 각각 부여하는 방안으로 이견을 좁혔으나 정치신인 범위를 놓고 줄다리기를 거듭했다. 공천특위 한 위원은 “한마디로 갑론을박이 벌어지는 상황”이라며 “아직 합의를 이뤄야 할 사안이 많다”고 전했다.
핵심은 전직 장·차관이나 청와대 참모들을 정치신인으로 볼 수 있느냐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이 대구 동구갑 공천 경쟁에 뛰어들어 정치신인으로 인정될 경우 정 장관은 가산점 10%를 얻을 수 있다.
당초 이들을 신인으로 볼 수 있다는 친박(친박근혜) 측 주장으로 기울다가 비박(비박근혜) 측 이의제기로 다시 논의가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유기준 의원은 한 라디오방송에 나와 “행정부 경험이 있거나 또 다른 쪽에서 상당한 커리어(경력)를 쌓은 사람이라 하더라도 실제 선거에 출마한 경험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은 하늘과 땅만큼 차이를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비박 측에선 “언론노출이 잦았던 정무직 장관이나 청와대 대변인 등에게까지 가산점을 주는 건 부당하다”는 반론이 나왔다. 국회의원 또는 지방자치단체장 선거를 치러본 경험이 있는 후보를 정치신인에서 제외하는 데에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결선투표에서 가산점을 부여할지에 대해서도 논란이 이어졌다. 친박계는 현역 프리미엄을 감안해 결선투표에서도 가산점을 적용하는 게 공정하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반면 비박계는 대구·경북(TK) 지역을 중심으로 증폭된 ‘비박계 물갈이’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의심을 거두지 않는다.
친박 측에서 도입을 주장하는 ‘현역 의원 평가제’도 불씨로 남아 있다. 당 지지율에 못 미치거나 부실한 의정활동을 한 의원들을 예비심사를 통해 공천 후보에서 제외(컷오프)하자는 것이다. 이는 김무성 대표가 주장해온 ‘상향식 공천’에 완전히 배치되는 방식이다.
김 대표는 이날 ‘안심번호제’와 관련, 이동통신 3사 임원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 등을 여의도 당사로 불러 회의를 가진 뒤 “기술적 시간적으로 이번 총선에서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는 답을 들었다”고 했다. 안심번호제는 휴대전화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노출되지 않도록 임의의 임시번호를 통신사로부터 제공받아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경선방식이다. 안심번호제는 김 대표가 주장해온 ‘상향식 공천’ 도구로 논의됐다가 최근 공천특위 회의에서 현실적으로 도입하기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됐었다.
그러나 특위 위원인 김태흠 의원은 “우리가 하수인도 아니고 이것저것 바꾸라고 할 바에야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 룰을 정하고 추인을 받는 게 낫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새누리당 공천특위, '마라톤회의' 했지만…정치신인 안심번호 등 막판 진통
입력 2015-12-31 0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