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구조조정 명단 19개 추가, 올해 총 54개사 구조조정

입력 2015-12-30 19:48

대기업 구조조정 명단에 19개 기업이 추가됐다. 올해 구조조정 대상 업체는 총 54개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크게 늘었다. 이들 업체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19조6000억원에 달한다.

금융감독원은 30일 대기업 수시 신용위험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채권은행들은 11~12월 중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 대기업 가운데 368개사를 대상으로 수시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했다. 워크아웃 대상인 C등급은 11개, 부실기업으로 분류된 D등급은 8개였다. 상반기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를 포함하면 총 54개로 전년보다 20개나 증가했다.

금감원 양현근 부원장보는 “경제가 어려운 측면도 있지만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해 선제적 구조조정을 하면서 구조조정 기업이 늘었다”며 “신용공여액이 크게 늘어난 것은 조선 등 여신규모가 큰 업종들이 포함돼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새로 추가된 19개 구조조정 대상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12조5000억원으로 충당금 추가적립 예상액은 1조5000억원이다. 전체 54개에 대한 신용공여액은 19조6000억원이다.

선제적 구조조정을 통해 한계기업 정리에 나섰지만 기업구조조정촉진법(기촉법) 개정안이 본회의 문턱을 넘지 못하면서 난항이 예상된다. 기촉법이 일몰되면 워크아웃을 통한 기업구조조정이 어려워진다. 현재 C등급을 받은 기업 11곳 가운데 일부는 워크아웃을 밟고 있다. 나머지 업체의 경우 올해 안에 워크아웃에 합의하면 향후 절차를 진행할 수 있지만 31일까지 업체신청, 채권은행 협의회 동의 등을 거쳐 워크아웃을 신청하기엔 물리적 시간이 부족하다.

진웅섭 금감원장은 이날 채권은행 부행장들에게 기촉법 재입법 시까지 채권단 자율 ‘기업구조조정 운영협약’을 통해 구조조정 공백을 최소화해달라고 당부했다. 진 원장은 “협약이 강제성이 없다는 이유만으로 기관 이기적 행태를 보임으로써 기업 구조조정에 애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달라”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구조조정 명단에 오르지 않았으나 B등급을 받은 기업 중 구조조정 대상 가능성이 있는 23개사에 대해선 증자·자본유치·계열사지원·M&A·자산매각 등 자구계획 진행 실적을 점검·관리할 계이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