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할머니들에게 미리 양해 구했어야” 與,소통부족 아쉬움

입력 2015-12-30 12:57

새누리당내에서 한일 정부 간 위안부 문제 타결 과정에서 위안부 할머니 피해자들과 사전 소통이 부족했다는 아쉬움이 고개를 들었고 후속 조치에 더 진력해야 한다는 촉구성 발언이 이어졌다.

합의 내용이 과거보다 진일보한 것은 틀림없지만, 당사자인 위안부 피해자들이 사전 협의의 미흡함을 지적하고 소녀상 이전 문제가 논란이 되는 등 부작용도 없지 않은 만큼, 앞으로 후속 조치 과정에서 근본적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4선 중진인 정병국 의원은 30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피해자 배상 방식 등이 미흡한 것은 사실이지만 상대가 있고 100%(만족)는 없는 만큼 큰 진전을 이뤘다"면서도 "합의 과정에서 당사자인 위안부 할머니들과 소통하지 못했다는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이어 "위안부 할머니들이 해결됐다고 받아들일 때 해결됐다고 본다"면서 "지금부터라도 실행 과정에서 위안부 할머니들과 더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을동 최고위원도 "협상은 타결됐다고 하지만 아직 문제가 끝나지 않았다"면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이번 회담 결과를 일본 측의 진정한 사과로 받아들이고 상처를 치유할 수 있도록 우리 정부가 이행 과정에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노력을 담아내야 한다"고 요구했다.

나경원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은 MBC 라디오에 출연해 "미리 이해를 구한다든지 하는 부분이 부족하지 않았나 생각한다"면서 "위안부 할머님들이 섭섭해하는 걸 많은 부분 공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나 위원장은 "위안부 할머니들의 명예 회복과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진정성 있는 후속 조치가 필요하지 않겠느냐"면서 "후속 조치가 더 적극적이고 진정성 있게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 위원장은 소녀상 이전 문제에 대해서는 "정부로서는 최선을 다하지만 결국 시민단체를 설득하지 못하면 이전하기 어렵지 않냐고 이야기할 수 있는 부분"이라며 "이런 부분이 (합의문에) 표현된 것은 아쉽지만 결국 정부가 '노력한다' 정도이기 때문에 이전한다고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