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미국 하원의 일본군 위안부 결의를 주도했던 마이크 혼다(민주·캘리포니아) 미 연방 하원의원은 28일(현지시간) 한일 정부의 위안부 문제 합의에 대해 “완벽과는 거리가 멀지만 올바른 방향으로 한 발짝 나아간 실로 역사적인 이정표”라고 평가했다.
혼다 의원은 개인 성명을 내고 “제2차 세계대전 기간 성 노예를 강요당했던 20만 명의 여성들이 궁극적으로 존엄과 명예를 회복할 수 있게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생존해 있는 (위안부) 할머니들의 삶이 얼마 남지 않았고,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의 중요성을 인식해 한일 양국이 첨예한 갈등 사안을 풀었다”면서도 “그러나 더 이상 역사적 진실을 눈가림하지 않고 미래 세대에 제대로 교육하겠다는 일본의 약속이 없어 매우 실망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미래 세대에 대한 올바른 교육만이 모든 사람의 인권을 존중하고 잘못된 역사가 절대 반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면서 “미래 세대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고 이런 잔혹한 행위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철저히 이행할 것을 아베 신조 총리와 일본 정부에 촉구한다”고 말했다.
혼다 의원은 이어 “일본의 이번 사과가 공식 사과가 아니라는 점에도 실망했다. 공식 사과는 일본 내각에 의해 공식 발표되는 것”이라면서 “다만 일본이 한국과 지구촌, 그리고 가장 중요한 (위안부 피해) 생존자들의 입장에서 원칙의 정신에 입각해 이번 합의를 이행할 책임이 있다는 점에서 희망적”이라고 지적했다.
일본계인 혼다 의원은 미 정치권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앞장서 온 인물로, 지난 4월 아베 총리의 미 의회 상·하원 합동연설을 앞두고 위안부 범죄에 대한 사과를 촉구하는 초당적 연명서한을 주도하는 등 아베 정권의 퇴행적 역사인식을 끊임없이 비판해 왔다.
지난 7월에는 일본의 산업혁명시설 세계유산 등재를 앞두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에 왜곡된 세계유산 등재에 대한 반대하는 연명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김의구 기자 egkim@kmib.co.kr
위안부결의 주도 美 혼다 의원 “위안부 합의, 완벽과 거리 멀지만 역사적 이정표”
입력 2015-12-30 10:36 수정 2015-12-30 1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