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LTE 서비스의 다운로드 속도가 일반 가정에서 많이 쓰는 유선랜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창조과학부가 30일 발표한 ‘2015년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LTE 서비스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117.51Mbps로 유선 초고속인터넷(100Mbps급) 보다도 빠른 것으로 측정됐다.
이는 북미(40.03Mbps), 아시아(33.77Mbps), 유럽(30.51Mbps) 등 주요 선진국의 LTE 속도보다 빠른 것이다.
3밴드 LTE-A 다운로드는 163.01Mbps로 광대역 LTE-A보다 1.5배 빨랐고, 3G의 다운로드 속도는 4.75Mbps, 와이브로는 5.92Mbps로 나타났다. 무선인터넷은 91.87Mbps로 측정되어 전년대비 3.4배 빨라졌다.
기가급(1Gbps급) 인터넷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923.04Mbps, 업로드 949.48Mbps로 측정되었으며, 초고속인터넷(100Mbps급)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99.3Mbps로 조사됐다.
VoLTE, 3G, 2G(행정동)의 음성통화 통화성공률은 양호하게 측정되었으나, 취약지역 2G의 경우 낮게 측정되어 통신사에 품질 개선을 요구했다.
통신사업자들의 정보보호 투자 수준을 살펴보면, 2014년도 정보보호 투자액은 1912억 원이며, IT 투자액 대비 정보보호 투자비율은 평균 6.1%, IT 인력 대비 정보보호 인력 비율은 평균 7.4%로 나타났다.
하지만 외부 전문인력의 경우 초급 인력이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위탁인력의 전문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일부 통신사업자의 경우 ‘정보보호 비전문가’가 ‘정보보호 최고책임자(CISO)’로서 다른 업무를 겸직하고 있어 전담체계를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미래부는 지적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LTE 속도 유선 인터넷(100Mbps)보다 빨라
입력 2015-12-30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