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합의 끝나기 무섭게 日 합의 후속조치 착수…안보·경제 분야 협력 요청도 잇따를듯

입력 2015-12-29 16:42
일본 정부가 한·일 간 일본군 위안부 문제 최종 타결 이튿날인 29일부터 한일관계 개선에 본격 시동을 걸고 있다. 특히 일본 정부는 한·일 양국이 이번 합의를 착실하게 이행하면서 협력 분위기를 극대화시켜 안보 분야에서의 협력은 물론 그동안 이견을 보였던 일제시대 강제징용 피해자 문제 등 남은 현안에 대해서도 차분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라고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들이 전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이날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으로부터 전날 열린 윤병세 외교장관과의 회담에 대해 보고받으며 “합의 사항의 ‘팔로우업(후속조치)’을 확실히 해 달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한·일 간 합의한 위안부 피해자들의 생활 지원을 위해 일본이 10억엔(약 97억원)을 출연하고 한국이 설립하는 새 재단의 운영 방식이나 사업 내용 등에 대해 한국과 신속히 협의에 들어갈 방침이다.

일본 측이 가장 신경 썼던 대목 중 하나인 서울 주한 일본대사관 앞의 위안부 소녀상 철거 문제에 대해서도 우리 측에 구체적인 대응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번 위안부 문제 합의를 계기로 조성된 한·일간 우호적 분위기를 활용해 북한 핵 문제에 대해 한·일, 한·미·일 3국간의 안보 분야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일본이 공들여온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에도 한국 정부의 협조를 요청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경제 분야에 있어서도 한국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가입 문제 등의 현안에 대한 대응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전날 외무장관 회담 결과에서는 거론되지 않았던 일제 강점기 일본 기업에 강제 동원된 피해자의 소송 문제,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한 일본 수산물의 한국 수입 금지 등의 문제에 대해서도 우리 정부에 성의 있는 대응을 요구할 방침으로 전해졌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