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빠진 위안부 합의 과정 아쉬워…몇 주 간 피해자의 답을 듣고 협상했어야”

입력 2015-12-29 16:34
아리미쓰 겐 일본 전후(戰後) 보상네트워크 대표

한·일 양국 정부가 28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협상을 타결짓는 과정에서 피해자들의 목소리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오는 가운데 한 일본 시민단체도 이러한 점들을 지적하고 나서 주목된다.

일본 시민단체 전후(戰後)보상네트워크의 아리미쓰 겐(有光健) 대표는 이날자로 발표한 담화에서 “가장 아쉬운 점은 일본 정부가 직접 피해자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대화하지 않은 것”이라며 “당사자를 빼놓고 외교 당국자끼리 타결해 합의한 것으로는 ‘최종 해결’이 되지 않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아리미쓰는 이어 “한국 정부는 일본의 제안을 받은 뒤 당장 결론을 낼 것이 아니라, 몇 주 간의 유예 기간을 둔 채 피해 당사자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의견을 교환한 뒤 결론을 도출하는 절차를 취했어야 하지 않았을까”라고 적었다.

아리미쓰는 이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을 통해 천명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사죄 언급은 피해자가 요구하는 사죄에 못 미친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25년간의 (위안부 관련) 연구 성과를 진지하게 반영시켰다면 더욱 넓은 공감을 얻는 문언이 됐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일본이 정부 예산을 한국이 설립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 재단에 출연키로 한데 대해 “피해자가 일본에 요구해온 것은 ‘지원’이 아닌 ‘사죄’와 ‘배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일본이 과거와 달리 지원금 전액을 정부예산으로 내기로 한데 대해서는 “개선으로 평가된다”고 언급했다.

아리미쓰는 다만 “내용을 명확히 밝히지 않은 채 ‘10억엔(약 97억 원)’이라는 숫자를 강조하고 먼저 내세우는 방법은 ‘돈뭉치로 해결을 도모한다’는 비판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