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타결된 한일 정부의 위안부 교섭을 움직인 것은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과 야치 쇼타로(谷內正太郞)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이었으며, 한국 측으로부터 양국 간의 문제를 매듭지으려고 하는 의도가 일본에 전해졌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9일 보도했다.
야치 국장은 22일 한국을 방문했고 타결안의 대강을 정리해 아베 총리에게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요미우리는 일본 측은 합의하더라도 한국이 나중에 번복할 수 있다고 불신했기 때문에 한국·미국·일본의 정상 또는 외교장관 회담에서 내용을 확인하는 문서를 교환하는 안에 주목했으나 미국이 난색을 보여 환영성명을 내는 방향으로 조율했다고 소개했다.
또 일본이 소녀상 철거를 요구한 것에 대해 한국 측이 애초에는 “적절히 해결될 것을 기대한다”는 안을 냈으나 표현이 약하다는 일본의 주장이 반영돼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한다”는 것으로 바뀌었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요미우리신문은 한국 정부 관계자가 “시민단체의 사전 양해를 확보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밝혔다며 이번에 사전교섭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로 정부 간 합의를 위해 서둘렀다고 평가했다.
신문은 또 한국 정부 측이 한일 청구권 협정 헌법소원 사건 선고를 앞두고 일본 정부에 연락해 전망에 관한 의견을 표명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한국 정부 관계자는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이 위헌인지를 판단해달라며 제기된 헌법소원 사건의 선고를 앞두고 “저 재판은 괜찮다”며 위헌 결정을 피할 수 있다는 전망을 일본 정부에 전했다.
신문은 이어 박근혜 대통령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기소된 가토 다쓰야(加藤達也) 전 산케이신문 서울지국장의 판결 직전에 외교부가 선처를 요구하는 문서를 법원에 제출한다는 것도 일본 측에 연락했다고 덧붙였다.
김의구 기자 egkim@kmib.co.kr
“위안부 교섭 움직인 것은 이병기-야치 라인”- 요미우리 보도
입력 2015-12-29 15:33 수정 2015-12-29 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