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한·일 '위안부 합의' 환영…이행이 중요"

입력 2015-12-29 08:48

미국 정부는 28일(현지시간) 한국과 일본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합의 타결한 데 대해 공식으로 환영 입장을 표명했다.

존 케리 국무장관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외교참모인 수전 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날 공식 성명을 내고 “한국과 일본 양국 정부가 민감한 과거사 이슈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합의를 도출한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그동안 북한발(發) 위협과 중국의 부상 등 역내 도전과제에 공동 대처하기 위한 한·미·일 3국 안보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일 양국 정부를 상대로 위안부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고 관계를 개선할 것을 외교적으로 압박해왔다.

케리 장관은 이날 성명에서 “양국은 이번 합의를 이행함으로써 위안부 문제를 ‘최종적으로 불가역적으로' 해결한다는 점을 분명히했다”며 “우리는 이번 합의가 (희생자들의) 치유를 촉진하고 미국의 가장 중요한 두 동맹의 관계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

케리 장관은 “우리는 용기와 비전을 갖고 이번 합의를 도출해낸 양국의 지도자에게 박수 갈채를 보내며, 우리는 국제사회가 이를 지지해줄 것을 요청한다”며 “우리는 경제와 안보협력을 비롯해 지역과 글로벌 이슈에 있어 양국이 지속적으로 협력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라이스 보좌관도 “한국과 일본 정부가 합의를 도출한 것을 축하한다”며 “양국은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합의가 위안부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했다”고 밝혔다.

라이스 보좌관은 이어 “우리는 이번 합의와 (합의의) 전면적인 이행을 지지한다”며 “우리는 양국의 이 같은 포괄적 결론이 치유와 화해의 중요한 제스처라고 믿고 있으며, 이는 국제사회로부터 환영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