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 고비때마다 朴대통령 결단” 당국자 “책임 및 사죄 그리고 후속조치서 진전”

입력 2015-12-28 18:20

외교부 당국자는 28일 한일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타결에 대해 "모든 외교적 자산을 동원해 노력을 경주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에게 "정부로서는 한일간 첨예한 입장차 등 적지 않은 현실적 제약에서 피해자들과 관련단체의 요망사항, 국제사회의 기대를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노력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당국자는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이 이날 회담 직후 공동회견을 통해 합의문을 발표한 것을 두고 "역사적 회견"이라면서 위안부 타결의 역사성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국내적으로 100% 만족할만한 수준이라고 평가해주기는 어렵더라도 위안부 문제는 한일 외교협상사에서 가장 난도가 높은 '핸디캡 1'의 난제였다는 것을 이해해주기 바란다"면서 협상이 험난했음을 시사했다.

그는 합의 내용에 대해 "책임 인정, 사죄, 일본의 책임조치라는 3대 요소에서 큰 진전을 이룬 것으로 평가된다"면서 "우리 정부 주도로 (피해자 지원) 재단을 설립하고, 일본 정부가 예산을 출연한다는 것은 새롭게 독창적인 이행 메커니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특기할만한 일"이라고 평가했다.

이 당국자는 "지난달 한일 정상회담에서 연내 타결의 모멘텀이 마련됐고, 어려운 협상에서 고비 때마다 대통령께서 용단을 내려 기나긴 협상에 마침표를 찍을 수 있었다"고 전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