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전투기(KF-X) 체계개발을 위한 방위사업청과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본계약이 28일 체결됐다.
방사청은 이날 "KAI와 KF-X 체계개발 본계약을 체결했다"며 "KF-X 개발사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고 밝혔다.
본계약은 방사청과 KAI 양측이 2026년 상반기까지 KF-X 체계개발을 완료하고 같은 해 하반기부터 전력화를 시작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업 예산은 모두 8조원으로, 한국 정부가 60%, KAI가 20%, 인도네시아 정부가 20%를 부담한다.
방사청과 KAI는 KF-X 공중 시험을 위한 비행 시제기 6대와 지상 시험용인 구조 시제기 2대를 생산하고 훈련·군수지원체계도 수립할 계획이다. 인도네시아는 비행 시제기 1대와 각종 기술 자료를 이전받게 된다.
방사청과 KAI는 당초 KF-X 체계개발을 2025년 말까지 완료할 계획이었으나 목표 시점이 약 6개월 늦춰졌다.
김시철 방사청 대변인은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KAI와 인도네시아 측의 가계약이 지연된 부분도 있고 사업계획의 일부 변동으로 추가로 반영할 사항들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KAI는 지난달 22일 인도네시아 측이 KF-X 개발 비용의 20%를 부담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가계약을 체결했고 이번 본계약은 이를 토대로 이뤄졌다. 본계약이 6개월 늦춰짐에 따라 KF-X 체계개발 목표연도도 그만큼 순연됐다.
방사청은 "체계개발이 조금 지연됐지만 우리 공군의 전력 공백이 없도록 당초 계획대로 2028년까지 초도 양산을 완료하고 후속 양산도 계획대로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본계약 협상에서 방사청과 KAI 양측은 KF-X 사업의 리스크를 분담하는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KF-X 개발을 위한 내년 정부 예산이 670억원으로 삭감돼 재정적 압박이 커졌고 사업 일정 지연으로 투자금 환수에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는 상황이다.
본계약을 체결한 방사청과 KAI는 KF-X 개발사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방사청은 "내년 1월 중에 KF-X 사업의 전반적인 계획과 지원 협의를 위한 사업착수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라며 "KAI는 인도네시아 측과 체결한 가계약을 본계약으로 전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KAI와 인도네시아 측은 내년 1월에 가계약을 본계약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가계약과 본계약은 내용이 같지만 구속력에서 차이가 있다.
방사청은 내년 1월 1일에는 KF-X 개발을 전담하는 70∼80명 규모의 사업단을 출범시킬 예정이다. 사업단장 자리에는 공모 절차를 거쳐 민간 전문가가 영입될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방사청-KAI, KF-X 개발 본계약 체결…사업 본격 착수
입력 2015-12-28 1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