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가 28일 일본군 위안부 소녀상 이전 문제에 대해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이 문제가 어떻게 결론날지 주목된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외교부청사에서 열린 한일 외교장관 회담 공동기자회견에서 소녀상 이전에 대해 "한국 정부로서도 가능한 대응 방향에 대해 관련 단체와의 협의 등을 통해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윤 장관은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가 주한 일본대사관 앞의 소녀상에 대해 공관의 안녕·위엄의 유지라는 관점에서 우려하고 있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이 이번 회담에서 표명한 조치가 '착실히' 진행된다면 중·장기적으로 일본이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이전 문제를 관련 단체와 협의를 진행하겠다는 게 우리 정부의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번 양국 합의에 대해 부실 논란이 불거지고 소녀상 이전 문제에 대해 관련 단체 및 여론의 반대가 거세지면 소녀상 이전 문제는 난항을 겪을 전망이다.
당장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이번 한일 외교장관 회담 내용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88) 할머니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소녀상 이전에 대해 "무슨 권리로 옮기나. 미안하게 생각해야지 무슨 검토를 하나"라며 "협상 결과를 전부 무시하겠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여기에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이 회담 직후 일본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소녀상이) 적절히 이전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말한 것도 논란의 불을 지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기대감 표명한 것이 이상 이하도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기시다 외무상의 발언을 일축했다.
소녀상 이전의 민감성을 잘 알고 있는 우리 정부는 매우 신중한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고위 당국자도 "소녀상 문제는 정부가 이래라저래라 할 문제가 아니다"고 전제한 뒤 "회담 타결로 형성된 분위기를 바탕으로 민간단체들의 의견을 잘 들어보는 것이 현단계의 수순"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윤 장관이 "관련 단체와의 협의 등을 통해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언급한 것은 현 단계에선 외교적 수사에 그칠 공산이 크다.
관련 단체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등은 소녀상 이전에 결사반대하고 있고, 국내 여론도 부정적이기 때문이다.
소녀상 이전 문제는 일본의 요미우리(讀賣) 신문이 회담 이틀 전인 지난 26일 한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한국 정부가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일본군 위안부 소녀상 이전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하면서 불거졌다.
정식 이름이 '평화의 소녀상'인 소녀상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 집회가 1천 회를 맞은 지난 2011년 12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중심이 된 시민 모금으로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처음 설치됐다.
이후 국내는 물론 미국과 일본에도 소녀상이 설치돼 지금까지 국내에 24곳, 미국 9곳, 일본 1곳에 세워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 운명은” 부정적 여론에 철거 어려울듯
입력 2015-12-28 1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