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품질저하와 가격 하락, 영농자금 상환시기 도래 등 삼중고에 직면한 감귤농가 피해 최소화를 위해 특단의 대책을 추진한다.
제주도는 현재까지 감귤 전체 생산예상량 52만9000t 중 49.8%인 26만4000t이 처리됐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5.6% 포인트 가량 낮은 것으로, 비날씨로 인한 수확 지연이 큰 요인이다.
제주감귤의 최근 평균가격은 10㎏들이 한 상자당 9300원이며, 10월 이후 전체 평균가격도 1만764원으로, 2013년과 비교해 21%나 낮게 형성되고 있다.
도는 이에 따라 현재 직면한 제주감귤의 위기상황을 ‘재해'로 규정하고, 강력한 대책마련에 나섰다.
도는 우선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16억원을 긴급 지원받아 감귤원 내에서 저급품 4만t을 산지 폐기한다. 당초 2만t을 시장격리할 예정이었으나 총 4만t의 물량으로 확대했다.
피해가 큰 감귤농가에 대해서는 재해대책 경영자금으로 480억원을 긴급 투입해 지원한다.
경영자금은 감귤재배면적 규모에 따라 1㏊ 이하·1만8432 농가를 대상으로 농가당 500만원, 1㏊초과 2㏊ 이하·3580 농가를 대상으로 700만원, 2㏊ 초과 농가에게는 1000만원 한도내에서 융자금을 지원한다
다만 공무원·교사·공기업 등 공공기관 재직자가 운영하는 감귤원, 농업경영에 미등록된 농가, 휴식년제 시행 농가는 지원대상에서 제외한다.
도는 각종 농자재 구입 외상대금 및 농가 영농자금 상환 연장, 이자 감면 등을 농식품부에 요청한 상태다.
도는 또 올해산 감귤의 원활한 유통처리를 위해 ‘특별상황실’을 24시간 운영체제로 전환해 내년 2월까지 운영한다.
도 관계자는 “내년 1월 선과장별로 홍수출하가 예견돼 출하조절이 무엇보다 시급한 상황”이라며 “감귤 소비촉진 운동도 범국민적으로 전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
제주도, 위기의 감귤농가 위해 특단의 대책 추진한다
입력 2015-12-28 1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