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0년까지 우리 국민의 건강수명을 현행 73세에서 75세까지 끌어 올리기로 했다. 이를 위해 암·당뇨병·고혈압 등 만성질병 발생 전에 생활습관 개선을 적극 지원하고 학생·군인·근로자 등 생애주기별 건강증진이 활성화되도록 부처별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28일 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16~2020)’을 심의 의결했다. 국민건강증진법에 따라 마련된 3차종합계획(2011~2020)은 5년마다 보완하게 돼 있다. 이번 4차계획은 건강수명 연장과 건강형평성 제고를 목표로 23개 분과별로 건강지표와 목표를 점검하고 개선했다.
건강수명은 기대수명에서 질병이나 부상으로 활동하지 못한 기간을 뺀 것으로 ‘얼마나 건강하게 오래 사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다. 세계보건기구(WHO)의 2013년 기준 우리나라의 건강수명은 73세(남 70세, 여 75세)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우리 국민의 기대수명은 81.8세다.
즉, 현재 질병 등으로 건강하지 못한 기간은 8.8세다. 정부는 건강수명을 75세로 높여 이 격차를 6.8세로 줄이겠다는 것이다.
복지부는 건강수명을 높이기 위해 내년부터 만성질환 전단계의 고위험군 중심으로 건강보험공단 건강증진센터 및 보건소에서 운동과 식습관 등 생활습관 개선을 지원하는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학생의 흡연·음주예방, 나트륨섭취 감소 등 건강식생활과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화 등 다양한 건강프로그램을 마련한다. 아토피천식 안심학교를 올해 1568곳에서 2020년 2000곳으로 확대한다. 고용노동부는 중소기업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해 근로자건강센터와 관할 보건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국방부는 군인 흡연 예방 및 금연 치료를 확대한다.
복지부는 또 국민의 실체활동 실천율이 2009년(56.2%) 이후 2011년 46.9%, 2013년 47.2%로 계속 떨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해 신체활동 증진을 독려하는 대국민 캠페인을 실시할 계획이다. 대한의학회 등과 연계해 국가건강정보포털에서 제공하는 질병, 건강정보를 기존 1300종에서 1500종으로 확대키로 했다. 또 미래 건강위협으로 꼽히는 ‘항생제 오남용 억제’를 위한 대책도 강구할 방침이다.
복지부는 2020년까지 중고등학교 남학생 흡연율을 16.8%(2008년 기준)에서 2020년 9.0%로 낮추기로 했다. 또 국민들의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을 57.1%(2014년 기준)에서 62.8%로 상향 조정했다. 인구 10만명당 암 사망률은 103.8명(2008년 기준)에서 2019년까지 82.3명으로 줄일 계획이다.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은 2008년 26명에서 2020년 20명까지 줄이기로 했다. 복지부는 당초 3차계획에선 자살률을 18명으로 줄이려는 목표를 수정해 상향 조정했다. 2013년 한국의 자살률은 28.5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1위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2020년까지 국민 건강수명 73세서 75세로 높인다
입력 2015-12-28 16:37 수정 2015-12-28 1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