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TV, PC, 모바일에 이어 제4 스크린으로 주목받는 디지털사이니지(Digital Signage) 활성화를 위해 2018년까지 789억원을 투자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디지털사이니지 산업 활성화 대책’을 28일 발표했다.
디지털사이니지는 공공장소, 상업공간 등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 정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아파트 엘리베이터, 도로변 등에서 쉽게 볼 수 있으며, 최근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100인치 이상의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제품도 개발되고 있다.
디지털사이니지는 세계시장 규모가 2014년 151억달러(약 17조6000억원)에서 2020년에는 314억불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 사이니지용 디스플레이 시장의 19%를 점유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수익모델인 광고시장이 정체되고, 수요 창출이 미흡하여 기술발전 추세에 대응한 법제도 정비도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미래부에서는 디지털사이니지 산업 활성화를 위해 2018년까지 ①선순환 시장 생태계 조성, ②중소벤처기업 지원 확대, ③글로벌 지향 선도적 기술개발, ④법·제도 선진화 등에 총 789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선순환 시장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전국 5개소에 실증단지를 구축하고, 평창 올림픽과 연계하여 5곳에 사이니지 거리를 조성한다. 또한 현재 1곳(잠실 광고문화회관)에 불과한 체험관도 10개로 확대한다. 특히, 디지털사이니지를 활용한 재난·안전 시스템 구축과 지자체 공공서비스 개발 프로젝트 등을 추진하여 공공수요도 창출할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 지원 확대를 위해 전국 3곳에 디지털사이니지 특화 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송도에 있는 품질인증 시험센터의 기능을 확대하는 등 전체 200여개 기업의 80%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통해 20개 글로벌 스타기업을 육성한다.
글로벌 지향 선도적 기술개발을 위해서는 2018년까지 총333억원을 투입하여 취약한 S/W 및 콘텐츠와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의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초기단계인 ITU-T 등 국제 표준화 활동에 적극 대응한다.
또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옥외광고물 관련 법령을 정비하여 디지털사이니지 산업 활성화를 촉진하고, 미국 타임스퀘어와 같이 설치규제를 대폭 완화한 자유표시구역 도입과 신기술에 대한 임시 허가제 활용도 검토할 계획이다.
미래부는 디지털사이니지 산업 활성화를 통해 2018년 기준으로 전 산업에서 생산유발 5조5000억원, 부가가치유발 2조3000억원, 고용유발 3만명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미래부, 디지털사이니지 산업 활성화에 2018년까지 789억원 지원
입력 2015-12-28 12:00